물병과 사자 :: 'appropriation' 태그의 글 목록
2020. 8. 10. 01:10 미술 이야기

다음 학기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정규 강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제반 사항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구체적인 스케줄에 대해서는 다시 포스팅을 올리겠습니다.  한동안 포스팅이 뜸했는데, 정규 강의 준비가 바쁘기도 바빴고, 개인적으로는 알게모르게 '코로나 블루'도 있었던 듯 합니다. 아무래도 나는 언택보다는 컨택이 익숙한 옛날 사람인가봐요. 

 


사진 작품이 많은 캐나다 출신 작가인 제프 월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계의 주요 작가 중 한명이다.  그의 <갑작스런 돌풍 (호크사이 작품을 따라서)> (1993)은 일본의 우키요에 작가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호크사이의 잘 알려진 작품을 라이트박스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로 '재현 (?)'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호크사이의 작품을 빌어서 어떤 것을 비판하고자는 의도는 보이지 않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는 패러디 (Parody)라고 하기보다는 패스티쉬 (Pastiche)라고 할 수 있다. 패러디는 예전부터 문학에서 시작되어 폭넓게 사용되어 온 기법이라면 패스티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접어들어서 본격적으로 사용된 기법이라고 할 수 있고, 넓은 의미에서는 '전용 (Appropriation)'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어떤 것이 패러디인가? 무엇이 패스티쉬인가? 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정규 수업에 자세히 다뤄보고자 하지만, 오늘은 일단 시각적으로 감상해보는 걸로! 

Jeff Wall,  <A Sudden Gust of Wind (after Hokusai)>, (1993) Transparency on lightbox ; 25 × 39.7 × 34 cm, Tate  

 

Katsushika Hokusai (1760–1849), Yejiri Station, Province of Suruga. Part of the series Thirty-six Views of Mount Fuji, no. 35. (c. 1832), woodblock color print ; 24.3 x 36.3 cm, Brooklyn Museum

패러디와 패스티쉬의 차이에 대해서는 논의할 점이 많겠지만, 일단 쉽게 접근해서 공통점을 하나 들어보자면, 둘다 원작을 알고 있을 때, 작품을 즐기는 재미가 훨씬 커진다는 점.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9. 4. 15. 11:17 미술 이야기

깊은 우물 속 물 길러 올리듯, 목차가 일목요연하지 않은 내 블로그의 깊은 곳 글들 하나씩 다시 재게재하는 작업 중.

아름다움을 표현할 때에는 주로 여성의 누드로 표현되곤 하는데, 아름다운 젊은 남성의 누드가 화면 전체를 차지하도록 그린 예외적 작품, '바닷가의 젊은 청년'에 대한 글이다.  

그리고 '차용' 혹은 'appropriation'이라고 불리는 고전을 '의미없이' 복사하는 작업에 대해서도 잠시 살펴보는 시간.  

Photograph after Flandrin's study by  Wilhelm von Gloeden

https://sleeping-gypsy.tistory.com/22

 

건강과 미의 상관관계-플랭드랭의 바닷가의 젊은이

흔히 미의 여신 비너스는 아름다운 여인의 누드로 표현된다. 하지만, 이폴리트 플랑드랭은 청년의 누드로 지극히 고요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어떤 사연을 가지고 바닷가에 올 누드로 저런 포즈로 앉아있었어야..

sleeping-gypsy.tistory.com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9. 2. 5. 22:40 미술 이야기

2019년 2월 3일 슈퍼보울 광고에 앤디워홀 (Andy Warhol: 1928-1987)이 등장했다. 그냥 등장한게 아니라 버거킹의 햄버거를 포장지에 케첩 퐁퐁 뿌려서 콕콕 찍어 냠냠 먹는 장면이 45초간 방영된다. 원래 덴마크 출신 감독 요한 레츠 (Jørgen Leth: b.1937)의 실험적인 영화 66 Scenes From America의 일부를 버거킹의 광고에 사용한 것이라고.  

2019년 2월 3일 슈퍼보울의 버거킹 광고에 등장한 앤디 워홀의 모습 

감독 요한 레츠 (Jørgen Leth: b.1937)의 실험적인 영화 66 Scenes From America에는 66 장면의 '전형적인 미국의 모습'을 담은 영화이다.  그 중 한 세그먼트에 워홀이 햄버거를 먹는 장면이 담겨있는데, 이 부분을 이번 광고에 사용한 것이다.  무미건조하게 먹고나서 '나 앤디 워홀이 햄버거를 먹었다'는 무미건조한 멘트를 하는 것이다.  이는 영화의 부분을 다시 활용한다는 면에서는 내 블로그에서 몇 번 이야기한 '차용' 기법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실제로 '광고'에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과연 티브이 광고를 예술 작품으로 간주하느냐 마냐에 따라 이를 '차용'이라고 명명할 수 있냐 없는가가 나뉠 수는 있다.  한편으로는 '차용' 기법이라는 것 자체가 '공허한 복제'인데 그렇게 엄격하게 정의하고 구분할 필요가 있는가 반론이 있을 수도 있다. 

요는, 팝 아트의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는 앤디 워홀이 세상을 떠난지 30년도 훌쩍 넘은 이 시점에 광고주들이라면 모두 눈독을 들일만한 미국에서 가장 핫한 광고 시간대인 슈퍼 보울 광고 시간대에 등장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그가 등장한 것은 광고 출연이 아니라 원래는 영화의 창작에 참여했던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이 자아내는 아이러니.   


감독 요한 레츠 (Jørgen Leth: b.1937)의 실험적인 영화 66 Scenes From America에는 66 장면의 '전형적인 미국의 모습'중 하나인 워홀이 햄버거를 먹는 장면 


사실 그래픽 디자이너로 충분히 성공한 뒤, 그는 예술가로 전향했고, 팝 아티스트로 충분히 유명해지고 부를 거머지고 나서는 영화 제작에 뛰어들었다. 그가 제작한 영화들을 다 보지는 않았지만, 그의 무성 영화들은 하나같이 엄청나게, 무지하게 지루하다. 그가 이러한 영화의 제작의 이유를 '권태감'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한다. (짐작컨데, 천재가 분명한 워홀은 분명 일상이 무지 권태롭긴 했으리라.)  

그 무성 영화라는 것인 앰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한자리에서 8시간 촬영하거나 (Empire, 1964), 한 남자가 45분간 천천히 버섯을 먹는 모습을 촬영하거나 (Eat, 1964), 한 남자가 자는 모습을 촬영하거나 (Sleep, 1963)....  

앤디 워홀의 초기 흑백, 무성영화 중 최강자는 단연 <Empire>(1964)일 것이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고정된 카메라로 무려 8시간 5분 동안 촬영한 것이다.  무려 8시간 5분 동안 한 장면이 지속되는 것이다.  사실 그런 영화를 안봐도 '권태'라는 느낌이 어떤 건지 알 수 있을 것도 같은데....  한편으로는 '멍때리기'가 우리 예상하는 것 이상으로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말을 들은 것 같은데, 그 용도로 사용해보는 게 좋을 수도 있을까? 


앤디 워홀 (Andy Warhol), 잠 (Sleep)(1964년 출시, 러닝타임 5시간 20분), 요하네스 메카스 (Jonas Mekas) 촬영, 워홀 필림즈 배포. 워홀의 친한 친구이자 시인인 존 지오르노가 잠자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촬영한 것.   

Eat (1963)은 앤디 워홀 (Andy Warhol)이 제작 한 화폭 45 분짜리 언더 그라운드 영화로 1964 년 2 월 2 일 일요일 요나스 메카스(Jonas Mekas)가 팝아티스트 로버트 인디애나의 스튜디오에서 그가 버섯을 먹는 장면을 촬영한 것이다.  사운드 트랙도 없이 흑백 필름으로 촬영된 이 무성 영화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은 마지막에 등장한 고양이를 로버트 인디애나가 웃으면서 안는 장면이리라.  


<엠파이어>(1964)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고정된 카메라로 무려 8시간 5분 동안 촬영한 것. 지루함의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작년부터 올해 3월까지 휘트니에서 워홀의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 관심이 있고, 그 곳에 갈 일이 있다면 방문해보면 좋을 것 같다.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홈피 참고할 것) Andy Warhol—From A to B and Back Again  (Nov 12, 2018–Mar 31, 2019)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9. 2. 1. 00:30 미술 이야기

어제 Anish Kapoor에 대해서 글을 올리고 (어제 올린 글)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해서 좀 더 검색해보았다. 인스타그램의 폐해라고나 할까?  이미지 하나 달랑 올라와 있어서 그걸 보고 오만가지 상상력의 나래를 폈으나, 그 다음 곰곰 생각해보니....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공공 조각을 목적으로, 그것도 알루미늄으로 만든 설치 작품이 알루미늄 호일도 아니고 그렇게 쪼그라들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생겼다. 이후 짬짬히 다른 뉴스 사이트를 뒤져봤지만, 그랬다는 뉴스는 한 군데도 없었다. 

낚인거 같다! 거의 확실하게...

덕분에 난 '내 맘대로 작품 보기' 시리즈에 포스팅 하나 더 올리고, 블로그 읽고 아니쉬 카푸어라는 작가에 대해서 알고 그의 작품에 공감하며 좋아했을 독자들도 있을 것이니 그닥 손해보는 일은 아니다, 위안하며.... 어제 포스팅은 그냥 두고 다시 하나 글 올리기로 한다. 

하지만, 가짜 뉴스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다시한번 경각심을 가져야겠다 생각해본다. 이게 일개 조각상의 뉴스가 아니라 좀더 중대한, 이를테면 우주인들의 지구침공이라던지 아틀란티스의 반격이라던지 이런 뉴스였는데, 내가 홀라당 믿어서 글을 퍼날랐다면 얼마나 큰 후폭풍이 있었겠는가!  (반성.반성.)

눈오는 날의 <구름 문>

 

바람으로 유명한 시카고의 한겨울, 진짜 '구름 문'의 모습.  어제 글을 읽은 분들께 혼란을 야기했다면 진정 쏴리~ 

 

사과의 의미라면 뭣하지만, 이왕 내친 김에 <구름 문>의 다른 모습도 몇 개 보너스로 올려보자면. 

이 정도 규모의 설치 작품은 사실상 제작에 있어서는 건축에 가깝다. 설계도와 함께. 

<구름 문>이 모형 단계를 지나서는 컴퓨터 그래픽의 도움을 받아 제작을 했다고 알려져있다. 

위에서 바라본 <구름 문>  위에서 이렇게 바라본 적은 없지만, 하늘의 풍경도 한아름 다 담고 있는 모습은 내가 아래서 느꼈던 감상을 또 한번 확신에 가깝게 해준다.  

 

배꼽이라고도 불리는 가운데 옴폭 파인 부분에서 올려다 본 <구름 문>

 

다시한번 느끼지만, 분위기에 따라서는 세기말 적이기도 하고, 외계에서 내려온 비행선 같기도 하고, 생명체 같기도 하다. 그래서일까? 실제로 제이크 질렌할이 주연으로 등장한 2011년 영화 <소스 코드 (Source Code)>에 SF스럽게 등장하기도 했다.  

Kapoor’s Chicago work figured in the 2011 movie “Source Code” starring Jake Gyllenhaal.

 

덧붙이자면, 아니쉬 카푸어의 <구름 문>과 너무도 흡사한 중국 짝퉁이 있어서 작가가 격노해서 소송 중이라고도 들었다... (이것도 자세히 나온 기사가 없어서 확실한 전말은 알수 없고, 어제 낚이고 난 직후라 기사의 진위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 

중국의 커라마이시에 있다고 하는데...  위그르어로 '검은 석유'라는 뜻의 도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전이 있는 도시라고 한다.  이 중국 작품의 작가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전해진 바에 따르면, 그 지역에서 자주 발견되는 유전에서 발견할 수 있는 '기름 방울들의 거품'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아닌게 아니라 자세히보면, 카푸어의 작품과 유사한 큰 덩어리 주변으로 자잘한 알루미늄 반구체들이 늘어서 있는데, 작가의 말을 믿자면 (혹은 그렇게 말했다고 하는 기사를 믿자면), 기름 방울들 중에 큰 놈을 묘사한게 어쩌다 보니, 아니쉬 카푸어의 작품과 유사한 것이 된다.  

 

중국의 커라마이시에 설치된 '기름 방울들'이라는 제목의 설치 작품. 이 작품의 존재를 알고 아니쉬 카푸어가 격분해서 항의를 했다고 알려져 있다. 일설에는 소송 중이라고도 하는데 자세한 것은 알수 없지만 그가 화가 난건 이해가 된다. 

누가 봐도 비슷하다고 할 것 같은데, 아류 작가도 아니고 세계적으로 알려진 작품을 대놓고 카피하다니! 대범하다고 해야할지. 하지만, 또 어떻게 보면, 앤디 워홀이나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을 그대로 모사한  일레인 스터트번트 (Elaine Sturtevant)의 경우, 전체적인 작품세계가 그러하지 않은가?  그리고 예술계에서 실제 리히텐슈타인 작품보다 그의 작품을 모사한 스터트번트의 작품이 열 배가까이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었던 것이 현실이니까. 

Roy Lichtenstein, Crying Girl (1963), lithograph on lightweight, off-white wove paper, 40.6 cm × 61.0 cm

Elaine Sturtevant (1926-2014), Lichtenstein, Frighten Girl (1966), oil and graphite on canvas ; 115.6 x 161.9 cm. 

리히텐슈타인의 <우는 소녀>는 2007년 경매에서 $78,400에 낙찰되었다. 반면, 스터트번트가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을 모사한 <Lichtenstein, Frighten Girl>(1966)의 경우, 2011년 경매에서 무려 $710,500에 판매되었다. 이어, 그녀가 사망한 2014년 이 작품의 가격은 예상 최고액 $800,000을 가볍게 뛰어 넘고 $3,413,000에 팔렸다. 물론 중국의 복제품과 스터트번트의 경우 차이는 있다. 중국의 복제품의 경우, 인터뷰 (혹은 인터뷰라고 알려진 글)에서조차 아니쉬 카푸어의 이름을 언급하지도 않는 반면, 스터트번트의 경우 제목에서조차 대놓고 리히텐슈타인의 이름을 넣고 있다. 이러한 이유없는 모방, 복제를 '차용 (appropriation)'이라고 하는데,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다.  

혹 아는가, 향후 수십년 지나면 중국의 짝퉁 (?) 설치작품이 다시금 새로운 작품 경향으로 회자되면서 또 다른 이름으로 불리게 될지 어떨지...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11. 11. 00:30 미술 이야기

요새 미술 - 제프 쿤스의 표절 Jeff Koons's Plagiarism 

네오팝 아티스트 혹은 차용 작가로 불리는 제프 쿤스는 마르셀 뒤샹과 앤디 워홀의 미학 (그런 것이 있다면) 담론을 결합하여 극대화 시킨 작가라고 있다.  뒤샹은 철물점의 소변기를 그대로 사서 엎어 놓더라도 작가의 선택 있었다면 작품이 되도록 하면서 예술가들로 하여금 손수무엇인가를 만들지않아도 되도록 만들었다. 워홀은 배고픈 천재 작가의 신화를 벗어던지고 성공한 예술가는 헐리우드 배우만큼의 유명세와 부를 누려도 된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었다.

따라서, 제프 쿤스는 한편으로는 직접 제작하는 수고없이 수많은 조수들에게 일을 시켜 제작하면서 (한때 수백명에 이른 조수들의 수를 최근 수십명 해고 했었다는 것이 뉴스가 되기도 했다), 아이디어를 짜내는 고뇌 따윈 집어치고 광고나 이미 유명한 작품들의 패러디와 차용을 해서 제작하면서, 헐리우드 스타만큼이나 유명세를 톡톡히 누리며 한 시대를 풍미하고 있다.  그는 생존 화가 가장 비싼 작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유명하기도 하지만, 반면에 일부러 싸구려처럼 보이게 만든 작품은 현대 미술의 수준 염려하는 진지한 미술 비평가와 애호가들에게 비판과 경멸의 대상이 되어왔다.  

 

 

Jeff Koons. Photo: Adam Berry/Getty Images. 절묘하게 잘찍은 사진. 그의 뒷쪽의 둥근 등의 모습이 마치 후광처럼 보이게 찍었다.

 

제프 쿤스는 게르하르트 리히터와 데미안 허스트와 함께 생존 작가로서는 작품 가격이 가장 높은 작가 랭킹 3위안에 드는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적 작가이다그는 애당초 키치’ (고급 미술에 대응한 개념으로 저질이고 싸구려 미술) 지향하며 의도적으로  싸구려 같고 저질인 작품들을 만들어내며 이율배반적으로 경매에서는 연이어 최고 가격으로 팔아 치워왔다

초기에는 일부러 삼류 잡지의 표지와 같은 사진을 작품으로 만들어내거나포르노 배우였던 아내와의 성관계 장면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조각을 등신대로 만들어내는 식이었다. 1988년부터는 진부함 (Banailty)’ 시리즈물로 조각품들을 유사한 미감 (이것도 미감이라면) 작품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여기서 만들어내는 것은 물론그의 공방에 소속한 조수들과 함께 전문 기술자들을 고용해서 말이다

그런 제프 쿤스의 의도적 저질 미술 혹은 키치 미술은 외설 논란과 함께 종종 법정 소송에 휘말리기도 해왔다. 이번에는 그의 1988 Fait d’Hiver 프랑스 의류 나프나프 (Naf-Naf) 1985년의 광고를 표절했다는 논란끝에 최종적으로 프랑스 법정에서 표절 판결을 받았다.    

광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프랭크 다비도피치 (Franck Davidovici) 제기한 소송에 쿤스가 작권 위반으로 €300,000 (£270,000) [4억원 상당] 배상하도록 최종 판결을 받았다. 아이러니 점은 제프 쿤스의 작품은 2007 크리스티 경매에서 프라다 재단이 무려 3.7 million (£2.8m) [305천만원 상당] 구매했었다는 사실이다

 

Jeff Koons,  Fait D'Hiver (1988) CREDIT:  RALPH ORLOWSKI/GETTY IMAGES EUROPE  표절 소송에서 패배한 제프 쿤스의 1988년 작품 Fait D'Hiver

 

Franck Davidovici’s original advert for Naf Naf, which he says American artist Jeff Koons plagiarised for his work Fait d'Hiver CREDIT: TELEGRAPH  제프 쿤스가 표절한 것으로 알려진 프랑스 유명 의류 브랜드 나프나프의 광고

 

나프나프의 광고를 보면 젊은 여인이 밭에 누워 있는데, 설정상 눈사태의 희생양으로 보이고, 그녀를 구하기 위해서 마치 조난자를 구조하는 세인트 버나드와 같이 돼지가 목에 럼주가 담긴 작은 통을 매고 그녀의 곁에 다가서고 있는 모습이다. 작품은 나프나프 아기 돼지 삼형제에서 벽돌집을 지었던 막내 돼지의 이름인데서 설정이리라.

 

작품 모두, 조각 작품이라는 유사점 이외에도, 프랭크 다비도비치가 주장한 바대로 소녀의 표정과 목에 통을 매단 돼지가 자신의 작품과 동일함하다. 굳이 전문가의 식견을 묻지 않더라도, 작품은 보통 사람들의 눈에도 놀랍도록 유사하다.  제프 쿤스의 경우, 추위를 강조하기 위한 것인 , 펭귄 두마리를 덧붙였다는 점, 쿤스의 돼지가 선물 포장의 리본 같은 것을 두르고 있는 것 이외에는 여인과 돼지라는 등장인물과 구도까지 동일하다. 게다가 제목까지 ‘Fait d’Hiver’라는 동일하게 달았는데, 이는 영어로 굳이 번역하자면 “The Fact of the Winter”라고 해석  있는 뜻이 명확하지는 않은 불어 단어인데, fait divers (‘짧은 뉴스라는 ) 동일한 발음에서 언어유희이다.   

 

다비도비치는 제프 쿤스의 작품의 존재를 2014 퐁피두 센터에 전시되었을 때에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다고 하는데, 전시로 인해 퐁피두 센터도 2014 전시로 인해 벌금을 물게 되었다. 1988 이후 그가 유명 광고 등에서 있는 저작권이 있는 이미지들을 이용해서 제작한 쿤스의 ‘Banailty (진부함)’라는 조각 시리즈는 그의 본국인 미국에서 끊임없는 논란을 야기해왔다. 그리고 쿤스에게 프랑스에서의 소송이 처음은 아니었다. 작년에는 제프 쿤스 개인 유한회사인 Jeff Koons LLC 작고한 프랑스의 사진 작가 -프랑소아 보레 (Jean-François Bauret)에게 51백만원 (€40,000) 배상하도록 판결했다.

 

왼쪽) 프랑스 사진작가 Jean-François Bauret의 'Enfants' (1975)의 사진 작품 ; 오른쪽) 제프 쿤스, 도자기 작품  '나체 (Naked)' (1988) - 프랑스 법정은 제프 쿤스에게 장-프랑소아 보레에게 4만 유로를 지불하라는 판정을 내렸다. 

제프 쿤스의 나체 (Naked)” 1988 제작된 1미터 남짓한 도자기 조각으로 나체의 어린이가 어깨 동무를 한 채, 남자 아이의 오른손에 들려진 꽃을 여자 아이가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프랑소아의 1975 사진 작품 어린이 (Enfants)”라는 사진과 몹시 유사한데, 작품은 엽서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사진 작품에서는 어린이가 꽃을 들고 있지는 않고, 그냥 나란히 서서 어깨 동무를 하고 있는 모습이긴 하지만, 소녀의 숙인 고개의 모습 소년의 시선 등에서 유사하다.   

미국에서의 경우, 여러 논란들이 있었지만, 법정 소송으로 발전한 경우는 없는데 비해, 프랑스 법정은 차용미술 재벌 작가에 대해서 그렇게 호의적이지 않은 듯하다.

이는 순수 예술의 역사를 이끌어온 프랑스의 마지막 남은 자존심이라 이해해도 될까?

 

Art Roger, 'Strings of Puppies'   

 

Jeff Koons, Puppies   String of Puppies (1988),  polychromed wood,  106.7 x 157.5 x 94 cm  © Jeff Koons  Edition of 3 plus AP    사진 작가 아트 로저의 '줄줄이 강아지'라는 사진 작품을 쿤스가 채색 목재 조각품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작품에 대해서는 소송까지는 가지 않고 '표절'이 의심되는 이 문제에 대해서 사진 작가와 법정 밖에서 합의로 매듭지었다 알려졌다. 

 

참고로 제프 쿤스의 다른 작품은 그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왠만한 패션 브랜드보다 잘 꾸며 놓았다.  그의 홈페이지 주소는 여기~ 

http://www.jeffkoons.com/

 

Welcome to jeffkoons.com | Jeff Koons

 

www.jeffkoons.com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17. 07:30 미술 이야기

흔히 미의 여신 비너스는 아름다운 여인의 누드로 표현된다. 하지만, 이폴리트 플랑드랭은 청년의 누드로 지극히 고요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어떤 사연을 가지고 바닷가에 올 누드로 저런 포즈로 앉아있었어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인체가 표현해내는 곡선과 사색적인 포즈, 그리고 저 멀리 보이는 푸른색의 바다와 하늘.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 고요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고 있다. 


Hippolyte Flandrin (1809-1864), Young Man by the Sea (1836) oil on canvas ; 98 x 124 cm, Musée du Louvre, Paris


이 젊은이의 동그랗게 말린 등의 곡선이 아름답다고 느낀 것은 비단 나뿐은 아니었고, 그렇게 동그란 등을 가진 인물이 저 젊은이가 최초도 아니다. 


Piero della Francesca, Resurrection (c.1460) the Palazzo della Residenza, Tuscany, Italy 


초기 르네상스 화가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부활>에서는 예수님이 다시 깨어나시는 역사적 순간을 놓치고 잠이 들어버린 안타까운 보초병들의 한명이 등을 동그랗게 말고 앉아있다. 


Piero della Francesca, Resurrection (c.1460) the Palazzo della Residenza, Tuscany, Italy, 세부 


그리고,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보초병과 플랑드랭의 청년에게서 영감을 받은 화가가 있으니 그가 바로 19세기말의 신인상주의자 조르주 쇠라 (1859-1891)이다. 


Georges Seurat  (1859-1891), Bathers in Asnières (1884, retouched 1887)  oil on canvas ; 201 x 300 cm, National Gallery   



일요일 강변에 물놀이를 하러 나온 청년들을 그린 <아니에르에서의 목욕하는 사람들>에는 플랭드르의 누드를 연상시키는 굽은 등의 청년이 등장한다. 


Georges Seurat, Bathers in Asnières (1884, retouched 1887)  세부



그리고,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보초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청년도 눈에 띈다. 굽은 등과 세운 무릎, 그리고 보초가 입은 외투의 주름을 연상시키는 주름진 바지에서 쇠라가 확실히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포즈는 원경의 흰색 옷을 입은 남성에게서 다시 반복되고 있다. 


Georges Seurat, Bathers in Asnières (1884, retouched 1887)  세부


그리고, 아래의 작품은 아베 코야의 프린트 작품. 플랑드랭의 작품 이미지에 우타가와 쿠니요시의 문신의 이미지를 덮어 씌운것.  플랑드랭의 작품이 서구의 미를 표현했다면, 거기에 우타가와 쿠니요시의 문신을 함께 표현하여 이를 통해 동양의 아름다움을 결합한 것이라고.... ('이레즈미'라고 하는 문신.  뜯어보면 아름답긴 한데, 저 청년은 우리나라 대중탕은 출입하기 힘들 것 같다) 


Abe Koya, Inkjet print combining Young Man Beside the Sea by Hippolyte Flandrin and Ding Desun and a Snake by Utagawa Kuniyoshi. From an edition of 10.  55.9 x 43.2 cm, reproduced by permission of the artist ©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한번 보면 잊기 힘들 정도로 아름다움을 지닌 플랑드랭의 청년의 등, 그러나.... 그것은 건강에는 좋지 않다.  정녕 건강과 아름다움은 함께 갈 수 없는 것인가~~  어쨌든 척추가 바로 잡혀야 건강하다는 사실!  바른 자세로 생활합시다!  



posted by 잠자는 집시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