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과 사자 :: 내 맘대로 작품 보기-서도호 DO HO SUH
2019. 1. 22. 08:19 미술 이야기

작년 12월 초 순경에 한 기사에서 서도호 작가의 작품이 "The Best Public Art of 2018"으로 선정되었다는 기사를 읽었다.  ‘브릿징 홈, 런던(Bridging Home, London)’이라는 작품이었는데, 예전 그의 'Seoul Home'과 유사하구나 생각하면서, 잠깐 훑어보았다.  UAP라는 단체가 제정한 3년차 되는 상이라고 했는데, 당시에는 일단 그 단체가 뭔지 자세히 모르겠고, 3년차니까 상자체가 자리를 잡은 건 아니겠구나 하면서 그냥 지나긴 했다. 서도호는 원체 내가 관심있어 하는 작가라 일단 북마크를 해두고 나중에 다시 한번 살펴봐야지 하다가 연말 바쁜 통에 잠시 잊고 있었다. 

Do Ho Suh, Bridging Home, 2018, London. Co-commissioned by Art Night and Sculpture in the City, and curated by Fatoş Üstek. Image courtesy of the artist, Victoria Miro Gallery, and Gautier Deblonde (관련기사: https://www.artsy.net/article/artsy-editorial-best-public-art-2018)

오늘은 한동안 블로그 글도 못올리고 있다가 다시 '내 맘대로 작품 보기' 시리즈(?)의 두번째 시간에 올리기로 맘 먹었다. 

내가 서도호 작가의 작품과 처음 접한 것은 뉴욕에서 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PS1이라는 곳에서 신생 유망 작가들의 작품들을 모아둔 전시회였다.  그 때 전시되었던 작품은 하나는 'Who Am We?'(2000)라는 작품이었고, 또 하나는 'High School Uniform'(1997)이었다.  

당시 인상은 참 참신하다는 인상과 함께, 아이러니하게 참 '한국적'이라는 느낌이었다.  라벨로 작가의 이름을 확인하기도 전이었고, 작가에 대한 정보도 없던 상태였는데도 말이다. (작가의 이름을 보고도 발음상으로는 한국 사람 이름 같지만, 작가의 성장배경,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된 것은 한참 이후의 일이었기에 당시로는 확신을 갖지 못했었다.)  

(PS1은 Public School 1이라는 뜻인데, 폐교가 된 뉴욕의 공립학교를 미술관으로 바꾸어서 전위적인 작품들을 전시하는 곳이다.

Do Ho Suh, Who Am We? (Multi) (2000) Offset wallpaper ; sheet (each): 61 x 90.8 cm, MoMA ; 아래 사진은 위 작품의 세부 (image from MoMA)  자세히 들여다보면 같은 얼굴 하나 없는데, 벽지로 제작된 이 사진첩(?)은 멀리서보면 모두가 같은 모양의 점처럼 보이는데, 그것이 바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뽀인트라고 할 수 있다.  제목도 'Who am I?'가 아니다. 'Who ARE We?'도 아니다. 'Who AM WE?'이다. 여럿이지만 하나로 뭉뚱그려진 존재들.   


Do Ho Suh, High School Uniform (1997) (인터넷에서 가져온 이미지로 내가 본 전시장의 모습은 아니지만, 대략 분위기는 전달되리라 생각한다)

아, 이 이상 한국의 교육 환경을 잘 표현한 작품이 있을까 하는 느낌.  물론 요새는 학령인구가 줄어들어 한 반 학생 수가 소수이기도 하고, 교복 자율화를 거쳐 교복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훨씬더 다양하고 이쁜 교복들이 많지만, 국민학교를 나온 세대라면 윗 작품에서는 코딱지 만하게 얼굴이 실리던 '국민학교 졸업앨범'을 떠올릴 것이고, 아래 작품을 보면, 예전 고등학교 월요일 아침 조회시간을 방문한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동안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쿠로자와 아키라 감독의 발언의 패러디 급의 문구가 유행한 적이 있었고, 그 여세를 몰아 뉴욕 빌보드에 비빔밥 사진이 대문짝만하게 실리기도 했었다.  미술계에서도 저 화두에 맞춰 여러 작가들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도 많았었던 것으로 안다.  그 고민에 결정적인 해결방법은 없었던 듯, '이제는 단청 문양과 오방색은 그만 보고 싶다' 는 소망이 생길만큼 천편일률적인 '한국적임'에 지쳤던 관람객들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었다. 

이에 반해, 서도호의 작품에서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알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지만, 저 작품들을 본 외국 사람들이라 할 지라도, 무엇인지 확실히는 알 수 없다 하더라도, 천편일률적인 규격에 맞추어 넣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임을 다 알고 공감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참신하면서도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작품이라 크게 인상 깊었다. 벽지 작업은 앤디 워홀은 물론 로버트 고버 등 유명한 팝 작가들이 많이 사용한 작품 기법이기도 하고, 마네킹들의 설치들도 수많은 작가들이 사용한 방법이라 기법만으로는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없지만 말이다.  

로버트 고버 Robert Gober 의 설치 작품 (1989)

서도호의 작품들을 두번 째로 만난 것은 수년 후의 그의 개인전이었는데, 이것도 꽤 오래전의 일이다. 

그 전시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두 가지였는데, 하나는 "Karma"라는 제목의 설치 작품인데, 커다란 인물의 조상을 다리 부분만 크게 만들어 갤러리 전체를 차지하게 만들어 놓고 그의 내딛는 구둣발 아래로는 어릴적 남자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초록색 플라스틱으로 만든 조그마한 군인 인물상들이 그 발걸음을 떠 받치고 있는 형상이었다. 

Do Ho Suh (b.1962), Karma (2003), Urethane paint on fiberglass and resin, 389.9 × 299.7 × 739.1 cm,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두번째로 인상 깊은 작품으로는 'Some/One' (2001)이라는 애매모호한 제목의 작품으로, 얼핏 멀리서 보면 이순신 장군이 입으셨을 법한 갑옷 같은 조각품 같은데, 가까이서 보면 셀 수없이 많은 군인들의 인식표 (Dog tag)들을 이어 만든 설치 작품이었다. 

Do Ho Suh, Some/One (2001) at the Seattle Art Museum, Washington

Do Ho Suh installs Some/One (2001) at the Seattle Art Museum, Washington, 2002. Production still from the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Season 2 episode, Stories, 2003. © Art21, Inc. 2003.

Do Ho Suh, Blue Green Bridge (2000), plastic figures, steel structure, polycarbonate sheets, 1137.9 x 129.5 x 61 cm, Edition of 2, LM2466 (위)와 그 세부 (아래) https://www.lehmannmaupin.com/artists/do-ho-suh  이 작품에서 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대의를 위한 소의의 희생에 대해서 좀 더 확실히 표현하고 있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잘 보이지도 않는 이 작은 군상들이 커다란 청록색의 다리를 만들기 위해 힘겨운 몸놀림으로 떠받들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들에서는 공통적으로 한 명의 위인을 만들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이름 없는' 보통 사람들이 떠받들고 희생을 해야하나 하는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는 점이었다.  한국의 현대사와 나란히 생각해보면, '군 독재의 군화에 짓밟힌 민중'이라는 이미지일 것이라는 짐작도 할 수 있게 해준다.  두번째 전시회는 작품의 모습과 형식적인 면에서는 첫번째 내가 봤던 전시회의 것들과 전혀 달랐지만,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는 점에서도 놀라왔다.  전체라는 이름 아래 가려진 개별성과 그로 인한 개인의 희생이라는 측면에서 말이다. 

그러던 그의 작품 세계가 확연히 달라진 것은 그의 집 시리즈에서였다고 생각한다.  서울에서 대학원과 군복무까지 마친 그가 미국에서 다시 학업을 하면서 느꼈던 '노마드'적인 정서를 담았다는 평을 얻고 있는 작품들이다. 

Do Ho Suh, Seoul Home/Seoul Home/Kanazawa Home (2012) silk, metal armature, 1457 x 717 x 391 cm, LM16332 https://www.lehmannmaupin.com/artists/do-ho-suh 

Do Ho Suh, Seoul Home/L.A. Home/New York Home/Baltimore Home/London Home/Seattle Home 1999, silk, 149 x 240 x 240 inches, Installation view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1999 

이 작품들도 한편으로는 팝아트적인 어휘가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딱딱한 것과 부드러운 것이라는 촉감과 질감의 전복을 통해 유용성을 제거함으로써, 충격과 신선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클레즈 올덴버그 (Claes Oldenburg: b.1929)가 그 전례를 찾아볼 수 있다. 

클레즈 올덴버그의 작품들, Soft Sculptures

서도호는 올덴버그의 촉감과 질감의 전복이라는 어휘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땅에 굳건히 자리한 집'이 공중에 떠 있게 만듦으로서 굳건함과 부유함이라는 상반된 개념이 충돌하게 만들었다.  또한 불투명한 건축물을 재질상 거의 투명한 올 고운 모시나 명주천을 사용함으로써 투명/불투명 사이의 전복도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복을 통해서, 자신의 개인적인 추억과 경험, 그리고 미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을 오가면서 느끼는 방랑자적인 입장을 투영하고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서 서도호는 개인적인 것으로 세계적인 것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쿠로자와 아키라의 말을 빌지 않더라도 말이다. 처음에는 자신이 성장했던 한국의 한옥을 위주로 설치 작업을 했지만, 점점 더 영역을 확대해서 외국의 건축물은 물론 가전제품과 가재도구들에까지 제작하고 있다. 

Do Ho Suh, Home within Home within Home within Home within Home (2013) silk, metal armature, polyester fabric, metal frame, 1530 x 1283 x 1297 cm, LM22819 https://www.lehmannmaupin.com/artists/do-ho-suh


Do Ho Suh, (left) “Specimen Series: 348 West 22nd Street, APT. New York, NY 10011, USA - Toilet”; (right) “Specimen Series: 348 West 22nd Street, Apt. A New York, NY 1011, USA - Stove,” both polyester fabric. (Courtesy Do Ho Suh and Lehmann Maupin Gallery)

이번에 UAP (Urban Art Project: 뉴욕과 상하이 등 다양한 지역에 거점을 두고 공공 미술을 제작하고 있는 조직)에서 선정한 그의 작품은 그의 Seoul Home에서 발전해 온 작품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좀 더 시간을 두고 조사를 해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고 그렇게 해보고 싶다.     

내가 블로그에 첨언할 필요도 없이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훌륭한 작품세계를 펼치고 있는 작가이지만, '내 맘대로 작품 보기' 코너이니까, 내가 좋아하는 작품에 대해서 올려보았다. 


posted by 잠자는 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