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과 사자 :: 전시소개) <대안적 언어 – 아스거 욘, 사회운동가로서의 예술가>
2019. 5. 1. 00:00 미술 이야기

전시명: <대안적 언어 – 아스거 욘, 사회운동가로서의 예술가>

기간: 2019.4.12~2019.9.8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작품수: 회화, 조각, 사진 및 아카이브 자료 90여점

 

전시회 소개를 해달라는 열화같은 (?) 요청에 힘입어 좀 신경써서 예술계 뉴스를 살펴보다 발견한 전시회. 다시 말하지만, 내 블로그가 전시소개 블로그라고 하기엔 전문성이 좀 떨어진다.  시작한지 한참 지난 전시회 소식을 전하기 일쑤고, 그것도 엄격히 선별......은 아니고 지극히 개인 취향을 반영하기 때문에.  그리고 소개하는 전시를 내가 미리 보고 올리는 것도 아니다.  적고보니 너무 내 맘대로다. 어쨌든 그러니 감안하고 읽어보시란 말씀. 

오늘 소개할 전시회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4월 14일부터 시작된 <대안적 언어 – 아스거 욘, 사회운동가로서의 예술가>이다.  (전시는 이미 시작했지만, 앞으로 한참동안 계속 하니까, 전시소개 글로서 유효한 걸로~) 

이번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소개하는 아스거 욘 (Asger Jorn: 1914-1973)이라는 작가는 대부분의 한국 미술애호가들에게 생소하리라 짐작된다. 덴마크 출신인 그는 코브라 그룹 (CoBrA)라는 그룹의 대표작가로도 꼽히지만, 이 코브라라는 그룹 역시 그렇게 대중적으로 알려진 그룹은 아니다. 여기서 ‘코브라’란 뱀이랑은 아무런 상관이 없고, 코(Co)펜하겐, 브(Br)뤼셀, 그리고 암(A)스테르담의 머리 글자를 따 명명된 명칭이다. 그래서 영어로 표기할때, 대문자와 소문자가 들쑥날쑥하게 CoBrA이다. 1948년 결성되어 1951년 해산하여 단명한 미술 운동 그룹으로 넓은 의미에서는 전후의 아르 앵포르멜에 포함된다. 이 그룹에서 가장 유명한 화가로는 아마 카렐 아펠 (Karel Appel: 1921-2006)일 것이다. 카렐 아펠이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된 계기는 1955년 뉴욕 현대 미술관(MoMA)에서 개최되었던 <<새로운 세대 (The New Decade)>>라는 전시회에 소개되면서라고 할 수 있다. 이 전시회에서는 프란시스 베이컨 (Francis Bacon), 장 뒤비페 (Jean Dubuffet), 그리고 피에르 술라주 (Pierre Soulages) 등 22명의 유럽의 화가와 조각가들의 작품들로 구성된 기념비적인 전시회였다.  전후 예술의 중심지로 급부상한 미국에서 전시회를 했던 유럽 작가들이 세계적으로 알려질 기회를 얻었던 것이다.

이에 반해 아스거 욘은 반골적이고도 혁명투사 같은 면모를 지닌 작가였고 사회참여적 작가였다. 1964년 구겐하임 어워드(현 구겐하임 펠로우십)의 수상자로 결정되었으나, 수상을 거부하는 의사를 전보로 보냄으로써 그의 예술 활동과 언행이 일치하는 인물임을 보여주었다.

 

아스거 욘이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선정 소식에 구겐하임측에 보낸 전보


 

아스거 욘이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자 선정 소식에 구겐하임측에 보낸 전보 내용 번역:

니 돈 가지고 지옥에나 떨어져! 빌어먹을 것들아.   

상은 거부한다.

상 달라고 한 적 없다. 

격조라곤 없이 너희들의 떠들썩한 인기나 얻으려고 원치 않는 행동을 하는 어중이떠중이 예술가가 되기를 거부한다.

나는 대중들의 동의를 원하는 것이지, 웃기지도 않는 너희들의 게임에 끼고 싶은 생각은 없다.


아스거 욘의 행보는 당시 유럽 사회의 유행하는 경향을 반영하고 있긴 하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제도와 권력에 반발하는 태도를 일관하였다. 기존 아카데미의 고루한 교육과 틀에 박힌 작법을 배격하며 어린아이나 정신병자들의 작품과 같은 자유롭고도 순수한 작품을 지향했다는 면에서는 아르 앵포르멜 작가들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국가라는 틀 속에 갇히지 않은 국제적 연대와 창의성을 중시하는 사상은 코브라 그룹 작가들과 공유하고 있다.  또한 예술이 상품으로 전락하는 상황에 반발하며 예술과 일상생활의 접목을 꾀하는 태도는 일찍이 바우하우스에서 추구된 바 있는데, 그 역시 이러한 사상을 견지하였고 이는 SI (Situationist International)라는 그룹의 설립으로 이어진다. 이후 그는 미국과 소련으로 양분된 냉전시대의 논리에 자신이 속한 북유럽 전통예술을 연구함으로서 제3의 대안적 관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해 스칸디나비아 반달리즘 비교 연구소 (Scandinavian Institute of Comparative Vandalism)’ 를 설립하기에 이르는 것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그 유명한 ‘구겐하임 텔레그램’은 물론 ‘스칸디나비아 반달리즘 비교 연구소’의 방대한 북유럽 민속 예술의 도상 기록 사진이 공개된다고 한다.  매번 같은 음식만 차려진 밥상 같이 인기작가들의 전시만 계속되는 미술계에서 이렇게 덜알려졌으나 흥미로운 작가의 전시가 열린다는 것은 참 반가운 일이다.

<무제(미완의 형태 파괴)> 122×97cm 캔버스에 유채 욘미술관소장 1962 /국립현대미술관
 ‘세속의 마리아’ (1960)
<무제 (데콜라쥬)> 64×49.1cm 상자에 부착된 찢어진 포스터 욘미술관소장 1964 /국립현대미술관

 

 ‘그려진 시’(파르파와의 협업) (1954)

posted by 잠자는 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