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과 사자 :: '미술관' 태그의 글 목록 (2 Page)
2018. 9. 26. 03:44 미술 이야기

한 여인이 두손을 다소곳이 앞으로 모은 채, 고개만 내밀어 창 밖을 내다보고 있다. 

Caspar David Friedrich, Woman by a Window (1822) oil on canvas ; 44 × 37 cm, Alte Nationalgalerie, Berlin


젊은 여인이 서있는 곳은 독일을 대표하는 낭만주의 화가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 (Caspar David Friedrich: 1774–1840) 의 드레스덴에 있던 스튜디오이다. 그리고 그녀의 이름은 카홀리느 (Caroline), 화가의 아내이다. 그녀는 남편의 스튜디오 창 밖으로 보이는 엘브 강과 그 위를 지나는 배를 바라보고 있다.  창밖으로 보이는 여린 푸른 빛의  포플러 나무들로 보아, 때는 바야흐로 북구의 긴 겨울을 나고 맞이하는 봄이다. 

강한 수직선으로 이뤄진 그녀를 둘러 싼 모든 환경과 배경과 그녀의 몸과 드레스가 만들어내는 부드러운 곡선의 대조는 그녀의 심리를 잘 반영해주고 있다. 먼저, 강한 수직이 주를 이루는 실내의 구조를 보라!  창틀에서 마루바닥에 이르기까지 실내에는 수직선이 위주를 이룬다.  특히, 그녀의 양쪽에 내려오고 있는 창 옆의 두 기둥은 그녀를 속박하고 있는 듯하고, 곧게 뻗은 배의 마스트, 저 멀리 보이는 곧게 뻗은 포플러 나무들, 모든 것이 수직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둥글게 말아올린 머리, 그녀의 작고 둥근 어깨, 주름이 잔뜩 들어간 그녀의 드레스... 이 모든 것은 그녀를 둘러싼 수직의 세계와는 상반된 것으로 보인다. 제한된 자유 속에서 그녀는 외부 세계를 동경하며 그녀가 경험하지 못한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잔뜩 내비치고 있다.  

한편, 그녀의 모습과 실내의 모습, 그리고 어두운 실내와 찬란한 태양이 비치는 외부의 풍경에서 이중적인 태도와 분위기도 읽을 수 있다. 실내광이 따뜻하게 채워진 집 안에서 아늑해 보이는 드레스를 입고, 두손은 마주 모으고, 동그랗게 만 몸은 창 쪽으로 기울이고 고개는 길게 창 밖쪽으로 빼고 서있는 그녀의 뒷 모습에서 한편으로는 안락한 집안에서 벗어날 용기는 없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집 앞 수로 앞을 지나는 배가 이끌어주는 새로운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한 여인의 심정이 잘 드러난다.  

그녀의 호기심이 집안의 안락함과 편안함을 이기게 될 때, 그녀는 몸을 돌려 계단을 내려가 대문을 열고 집 밖으로 나서게 될지도 모른다.  아니면, 그녀는 잠시 후, 한차례의 꿈을 꾼 듯 멋진 세계에의 상상을 접고 조용한 일상으로 복귀할지도....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24. 07:00 미술 이야기

Georges Seurat (1859-1891), A Sunday Afternoon on the Island of La Grande Jatte (1884-86)  oil on canvas ; 207.6 × 308 cm,  Art Institute of Chicago

32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뜬 조르주 쇠라 (Georges Seurat: 1859–1891)의 대표작은 단연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이다.  

인증샷  ^^  혹시 직접 작품을 본 적이 없는 분은 대략 사이즈를 가늠해보세요~

만약 쇠라가 오래 살았더라면 미술의 지평이 바뀌었으리라 평하는 천재적인 화가.  그는 당시 유행하던 색채 이론을 깊이 연구하여 역작인 <그랑자트의 일요일 오후>는 그가 2년간의 연구와 다수의 습작을 통해 탄생한 것이다.  

그 전까지 사람들은 사물에 고유색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Michel-Eugène Chevreul 등의 연구로 여러가지 색채이론이 대두되었다. 시각의 인식와 대뇌의 인지 관계에 대한 차이에 대해 알게 되며, 색채 대비로 인한 착시, 보색 이론 등이 밝혀졌다.  보통 사람들은 이과적 성향과 문과적 성향으로 나뉜다고 하는데, 쇠라 같은 경우는 이과와 문과의 성향을 모두 갖춘 인물이었던듯 하다.  당시의 과학서와 이론서를 섭렵하면서 그 이론을 <그랑자트>에서 실현하고자 하였다. [심지어 최종적으로는 캔버스를 늘려 가장자리를 빙 돌아가면서 채색을 하였는데, 거기에도 보색이론을 적용하였다] 

Seurat, Child in White, 1884-85,  Conté crayon on paper.  Solomon R. Guggenheim Museum

그리고, 위의 작품은 종이 위에 콩테 크레용으로 그린 드로잉으로 <그랑자트>의 작품 속의 어린 소녀의 습작이다.  직접 보면, 과연 흑과 백 사이에 그토록 다양한 단계의 채도와 명도가 존재했었나 싶을 정도로 감탄하게 된다. 그 다채로운 흑과 백이 가슬가슬한 미샬레 종이의 표면의 질감과 조화를 이루는데, 자세히 보노라면 그 다양하고 심오한 세계에 빠져들 듯한 느낌이 든다.  

Georges Seurat, A Sunday Afternoon on the Island of La Grande Jatte 의  세부.  중앙 부분에 위치한 어린 소녀  

이 소녀로 말씀드릴 것 같으면 작품 <그랑자트>의 캔버스에서의 대각선이 만나는 중심에 자리한 인물로 관람자 쪽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서있는 중요한 인물이다.  순수한 소녀가 새하얀 원피스를 입고 이쪽으로 바라보게 그림으로써 관람객들의 관심을 끄는 역할, 그림에서의 focalizer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조르주 쇠라는 이과 문과를 섭렵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색상에 대한 감수성만 있는 것이 아니라 흑백에 대한 안목도 탁월했음이 분명하다.  과학이면 과학, 섬세한 감수성이면 감수성, 색상이면 색상, 흑백이면 흑백 어느 하나 허투루 다루는 법이 없다. 

<그랑자트의 일요일 오후>를 위한 습작 ; Seurat, L’écho (Echo), study for Bathers at Asnières (1883–84)  Conté crayon on Michallet paper ; 31.2 x 24 cm, Yale University Art Gallery 

수 많은 드로잉들 속에는 얼마전 다뤘던 <아니에르에서의 해수욕>에 등장한 등굽은 소년도 있고, 손나팔 부는 소년도 있다.  완성작에서 볼 수 없는 적막한 고요가 아련함과 함께 전해져 온다.  

<그랑자트의 일요일 오후>를 위한 습작

그리고, 위의 여인을 보라!  눈,코,입 하나도 확인할 수 없으나, 저 여인은 분명 아름다울것만 같지 않은가!

그가 살던 19세기 말의 프랑스에도 달은 어김없이 뜨고 졌나보다.   짙은 어둠이 깔린 풍경과 휘영청 밝은 달을 쇠라는 오직 흑색의 농담 조절만으로 표현했다. 


추석입니다. 달보고 소원 많이 비시라고 마지막에 달 그림 올렸네요.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23. 06:57 미술 이야기

리움은 사립 미술관 중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미술관일 것이다.  몇 차례 갈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리움은 마치 종합선물세트 같다.  현대미술사에 족적을 남긴 작가들, 혹은 남길 화가들의 작품들이 비교적 빠짐없이 적어도 한 작품씩 다 걸려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그 작품들이 다 개론서에 실릴 법한, 그 작가의 장점이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대표작은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그런 대표작들은 이미 세계 유명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덜 알려진 작품들이라도 실제 구매를 한다고 생각해보면 그 가격은 천문학적 금액이므로 대표작들을 골라서 소장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 이해는 된다. 또 장점은 개론서나 여타 미술관에서 미처 보지 못했던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보면서 아~ 이런 작품도 있었구나 하고 감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점이다. 

한번은 상설 전시관을 한 바퀴 돌다가 우연히 천장을 쳐다봤는데, 거기엔 이런 작품이 있었다. 

Antony Gormley, Feeling Material XXIX (2007). Stainless steel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공사하다가 남은 철사를 미처 치우지 못했나 할 철사 뭉치.  아니, 설마....하며 라벨을 보니 맞.았.다. 그것은 안토니 곰리 (Antony Gormley: 1950~)의 작품이었다. 

안토니 곰리는 1980년대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영국의 중견 조각가이자 설치 작업가이다. 1994년,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그래도 현대미술 분야에서는 가장 권위있는 상 중에 하나인 터너 프라이즈를 수상한 이래 다양한 수상 경력을 쌓아가면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이다.  2014년에는 기사작위도 받아서 이제는 Sir Antony Mark David Gormley, OBE*이다.  이제는 영국 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 그의 작품들이 소장되고, 많은 명소들에 그의 작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현재도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그의 공식홈페이지는 여기를 클릭!]

2014년 4월 15일 엘리자베스 여왕에게 기사작위를 수여받는 안토니 곰리 (photo by Jonathan Brady/PA Wire)

공간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다고 작가 자신이 밝히고 있는 그의 작품은 실존 철학, 불교 사상 등의 영향이 보이는 심오한 작품들이 많다. 그 중에서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아름답고 인상적이라고 느낀 작품은 작가의 신체를 철로 주조한 동상들이 수없이 해변가에 늘어서 있는 <Another Place>이다.

Antony Gormley, Another Place, Crosby Beach, Liverpool/England 

이 작품은 리버풀 지역의 크로스비 해변에 철로 주조한 동상 100점을 모두 얼굴이 바다 쪽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한 작품이다.  작가의 나체를 그대로 본 뜬 이 설치는 유럽에서 두 번 전시한 적도 있는데, 한때에는 외설논란도 있었다고는 하지만, 2007년 이후에는 이곳에서 영구 설치하기로 결정했다고 했다.  위의 사진 처럼 해변가에 세워진 동상도 있으나, 밀물 때엔 상당부분 동상이 잠기게 되는 것도 있는데, 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이끼도 끼면서, 파티나 혹은 버디그리라고 불리는 녹청이 끼게 된다. 이런 경우, 작품을 완성하는 것은 시간과 자연이 된다. 

그 곳을 찾은 방문자들은 이들 조각 앞에서 사진을 찍거나 조각에 옷을 입히거나 하면서 색다른 연출을 한뒤 촬영하거나 해서 그 사진을 SNS에 올리기도 하는데, 그 자체로 또 다른 작품으로 변신한다. 이 때 동상들은 출연자이기도 하면서 배경이기도 하다. 

그리고 때로는 그냥 그곳을 지나는 이들과 바다를 지나는 배와 함께 서 있는 동상을 찍은 사진들을 찍기도 하는데, 그 자체로 또 다른 작품이 된다.   특히, 어떤 작품들은 얼마전 여기 블로그에 올렸던 호쿠사이의 우키요에 속의 파도 그림과 같은 미학과 철학이 담긴듯 하기도 하다. 

크로스비 해안에 설치된 곰리의 작품 <Another Place> 그 자체, 그리고 또 그것을 촬영한 사진들. 그 속에는 세월의 흐름과, 자연의 변화, 또 그 곳을 찾은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과 어우러져 끊임없이 색다른 풍경을 만들어 내며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매번 다른 컨텍스트를 만들어낸다. 자연과 인공, 자연과 인간, 그리고 그 인간의 조건, 숙명, 동과 정, 생과 사... 수 많은 생각할 거리를 끊임없이 던져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연과 어우러질때, 무척 아름답다.

[더 많은 이미지는 이 링크를 참조] 

그 밖에도 왠만한 건물만한 크기의 철조 구조물로 인간의 형상을 만들어, 그것을 야외에 설치하는 작업들이 있다. 이 경우 성긴 철 구조물 사이사이로 바라보는 쪽의 풍경이나 햇살이 투과되는데, 그 속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는 빛의 반사가 무척이나 아름답다.  아래 작품은 그 철 구조물을 인간이 쪼그리고 앉아 있는 모습으로 만들어 내, 네덜란드의 렐리스태드 지방의 강둑에 설치되어 있는 <Exposure>라는 작품이 있다.   현지인들이 '용변을 보고 있는 사람'이라는 별명을 붙였다고 하는데, 아닌게 아니라.... 하지만, 원체 큰 사이즈라는 점, 그리고 인간의 형상을 딴 구조물이라는 점에서 상기되는 여러가지 감상이 생긴다.   전격의 거인이 떠오르는 이 작품은 신화적 상상력으로 풀어보자면, 오딧세이가 떠나고 난 뒤 혼자 남은 사이클롭스가 저러고 쪼그리고 앉아 떠나는 배들을 보고 있었지 않을까...

Antony Gormley, Exposure (2010) in Lelystad/The Netherlands. photo by Herman Verheij

그리고 수년전 크리스티 경매에 나온 작품이 아래 작품인데, 같은 <Feeling Material>의 제목을 달고 시리즈 번호만 다른 이것이 현재 리움의 작품과 비교적 유사한 작품일 것이다. 

Antony Gormley (b. 1950), Feeling Material XIV (2005),  4mm square section mild steel bar ; 224.8 x 217.9 x 170.2 cm 

위의 작품은 실제 인간의 크기를 훌쩍 넘는 크기의 엉킨 철사뭉치들이 어렴풋이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마치 우주의 혼돈에서 탄생하는 인간과도 같은 모습이다.  무에서의 유가 창조되는 순간인가?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건가?   무질서 속의 질서감이 느껴지면서 왠지 철학적인 분위기를 담고 있는 듯하다.  <Feeling Material>이라는 제목에서 'material'이라는 단어가 담고 있는 의미도 다양하다. 물질, 혹은 질료 하지만, 뭔가 구체적이고 중요하다는 의미도 있지 않은가?   

다시 리움으로 돌아와보자.   아닌게 아니라, 처음에 볼 때에는 미처 깨닫지 못하지만, 1 미터 남짓한 작지 않은 철사더미에서 작은 우주의 소용돌이가 보이는 듯도 하다.  저 혼돈의 끝에는 어떤 생명이 탄생하게 될런지도 모른다. 

Antony Gormley, Feeling Material XXIX (2007). Stainless steel

그러나, 솔직히, 이 조그만 철사 뭉치를 보는 것 만으로, 안토니 곰리의 작품 세계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힘들것 같다.  더구나 애당초 이 작품을 처음 보는 이가 이 작가에게 관심을 갖게나 될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물론, 미술관에 그의 거대한 등신상을 가져다 와서 다른 작품들 사이에 좁게 끼워 세워놓은들 <Feeling Material XIV> (2005)와 같은 작품그렇다치더라도 그 자연 속의 그의 작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는 감동을 그대로 받을 수 있을까 싶은 것이다.   

그래서, 생각한다. 리움은 종합선물세트인데, 때로는 잘 안팔리는 연양갱이 들어 있는 종합선물세트이므로, 양갱의 제대로 된 맛을 느끼려면, 명품 장인이 운영하는 화과점을 가서 사먹어 봐야 하듯이, 그곳에 있는 작가들을 하나씩 천천히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종합선물세트의 연양갱이 맛이 없었다고 해서, 양갱이라는 먹을거리 자체의 맛을 부정하지는 말아야 한다는 것을.... 

*OBE: Officer of the Most Excellent Order of the British Empire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22. 06:33 미술 이야기

걸작이라는 이유로 작품을 평소에 공개하지 않고 커튼으로 막아놓은 작품이 있을까 하는 의문으로 맺은 글, 다시 시작해본다. 


본격적으로 검색에 착수하고 얼마지나지 않아, 실제로 그 안트워프의 성모대성당이 그러했다고 알게 되었다. 


김새는 일이다. 


물론, 회화와 커튼은 오랜 인연이 있다.  널리 알려진 고대 그리스의 화가 제욱시스 Zeuxis 가 파라시우스Parrhasius 와의 경쟁 에피소드부터 존재한다. 그 얘기에 따르면, 둘이 그림을 하나씩 그려와서 서로 실력을 겨뤄보자며 한 자리에 모인다. 제욱시스가 그린 포도의 그림은 너무도 생생하고 진짜 같아서, 새들이 몰려와 그 포도를 쪼아먹으려다가 다 부딪혀 떨어지는 장면이 연출되었다. 의기양양 제욱시스가 '자, 이제 당신 그림을 보여주시지...그 커튼을 거두어보란 말이다~~'라고 하자, 파라시우스가 씨익 웃는데... 


그 이유는 바로 그 커튼이야말로 그가 그린 그림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제욱시스는 '인정!! You Win!!' 외치게 되는데...  쿨한 제욱시스가 생각하기에 자신의 그림은 새들의 눈을 속였지만, 파라시우스는 바로 '자신'의 눈을 속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여기서 누가누가 더 잘그리냐의 문제는 전문용어로 '눈속임 (trompe l'oeil)'의 기법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즉 누가 더 진짜같이 잘 그리냐는 말이다.


같은 맥락에서 커튼을 그려넣은 화가들도 많다. 그 대표적인 예가 덴마크 출신의 코넬리스 노베터스 기스브레히트 (Cornelis Norbertus Gijsbrechts (ca. 1630-ca.1675)라는 어려운 발음의,  잘 안알려진 화가의 작품이 그 예이다.  


Cornelis Norbertus Gijsbrechts, Trompe l'oeil. Board Partition with Letter Rack and Music Book (1668), oil on canvas ;123.5 × 107 cm, Statens Museum for Kunst 


그리고 보다 유명한 화가로는 베르메르 (요새 표기로 하면 페르메이르)의 작품이 있는데, 그의 얼마 되지 않는 작품 47점 중 7점에 커튼이 그려져 있다. 


Johannes Vermeer, Girl Reading a Letter by an Open Window (ca. 1659)

베르메르는 커튼을 자주 이용해서, 이 작품을 포함해 총 7점에 커튼이 등장한다고.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서는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가 커튼을 자주 이용한다.  그의 경우, 눈에 보이는 것과 안보이는 것, 현실과 진실 사이에 대한 질문을 하는 화가로 유명하기에 왜 그가 커튼을 자주 쓰는지 이해가 된다. 


René Magritte, The Human Condition (1933)

oil on canvas ; 100 x 81 cm,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하지만, 이들은 모두 그림안의 커튼들 이야기이다. 


그런데, 찾아보면, 실제로 커튼을 치고 입장료 내지는 구경하는 값을 낸 사람에게만 그림을 보여주는 이가 있었으니, 바로 미국 최초의 자생적 화파로 알려진 허드슨 강 화파 (Hudson River School)의 대표자 격이라고 할수 있는 프레드릭 에드윈 처치 (Frederic Edwin Church: 1826-1900)이다.


그는 영국에서 미국으로 건너온 초기 이민자의 자손으로, 부유한 은세공사이자 시계제조자 집안의 자손으로 일찌감치부터 그림을 공부했던 인물이다. 그는 여러차례 미국 대륙은 물론 극지방을 탐험하여 그 곳의 풍경을 생생하게 그려 유명해졌는데, 대표적 작품이 <안데스의 중심>, <빙하>, <나이아가라 폭포> 등이 있다.  


Frederic Edwin Church, Niagara (1857), oil on canvas ; 101.6 x 229.9 cm, Corcoran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Frederic Edwin Church (1826-1900), The Heart of the Andes (1859)

oil on canvas ; 168 x 302.9 cm, Metropolitan Museum of Art   


Frederic Edwin Church, The Icebergs (1861), oil on canvas ; 163.8 x 285.8 cm, Dallas Museum of Art


그 중에서도 <빙하 (The Icebergs)>는 그의 탁월한 역량을 과시하는 역작일 뿐 아니라, 그 전시 방법에 있어서의 영리한 마케팅 전략을 잘 보여주는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자신이 직접 1859년 한 달간의 탐험한 북극지방을 묘사한 작품으로 부드러우면서도 선명한 색상, 매끈하면서도 광택이 나는 화면, 만지면 차가울것만 같은 생생한 빙하의 표현은 보는 이의 맘을 사로잡기에 부족함이 없다. 처치는 무려  100점이 넘는 사생 스케치를 바탕으로 탐험 경험자들의 생생한 기록들을 읽으며 키운 그의 상상력을 가미하여 뉴욕 스튜디오에서 위의 <빙하>라는 작품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작품은 미국 남북전쟁이 시작되었던 1861년 뉴욕과 보스턴에서 전시되었고, 열광적인 호평을 이끌어내었다. 하지만, 전쟁때문에 구매자를 찾을 수 없었던 처치는 결단을 내려, 1863년 런던으로 건너가 <나이아가라>와 <안데스의 중심>과 함께 그곳에서 이 작품을 전시하였다.  이 때, 처치는 이 <빙하>만은 따로 화려하게 장식된 방안에 별도로 전시를 하면서, 캔버스 앞에 커튼을 장치하였다. 그 작품을 보고자 하는 관람객은 25센트를 내야만 했고, 돈을 낸 관람객은 작품 해설이 적힌 팜플렛을 받고, 작품을 구경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전시는 그럼에도 호황을 누렸고, 결국 그곳의 자산가가 그 작품을 구매하게 되고, 이후 시간이 흘러흘러 경매에 나온 작품을 익명의 구매자가 높은 가격에 낙찰. 이후 댈러스 미술관에 기증. (2010년에야 그 기증자가 Lamar Hunt, 어메리칸 풋볼 리그 AFL을 창시한 인물임이 밝혀졌다고)....  결국 프레드릭 에드윈 처치의 마케팅 전략은 멋지게 성공한 셈이다. 



당시의 모습대로 재현해본 모습


내셔널 지오그래픽도 없고 BBC 다큐멘터리도 없던 시절, 보통 사람들로서는 구경할 수 없던 진풍경을 이토록 생생하게 묘사를 했으니, 누구라도 작품을 보고 싶어 했을 것이다. 짐작컨대, 오늘날 아이맥스 영화나 4D 영화 이상의 경이로운 경험이었으리라.   



여기서부터는 나의 망상 ~ 

안트워프의 성모 대성당 관계자 중 누군가가 처치의 <빙하> 전시회를 보게 되었다. 그리고, 성당의 재정난을 타파할 혁신적 아이디어라고 생각하고 성당의 유명소장품 루벤스 작품에 커튼을 만들어 걸고 관람료를 받게 하자 제안하고 그 제안은 통과된다.  그리고 안트워프 여행 때, 성당의 입장료 제도를 목격한 "플란다스의 개"를 쓴 소설가 Marie Louise de la Ramée가 이 내용을 소설에 포함시킨다. 그녀도 '그건 쫌 너무한걸 ....'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100년 후 일본에서 그 책은 애니메이션화되어, 그 이래, 안트워프 성모 대성당에는 수많은 일본인과 한국인 관광객의 방문이 이어지고, 심지어 그 성당 앞에는 일본 자동차 회사가 비용을 지원하여 제작한 네로의 동상까지 만들어지게 된다는 이야기....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21. 08:00 미술 이야기

'플란다스의 개'라는 말을 듣고 한국 영화가 아닌 어린이용 만화 영화를 떠올리는 분만 알아들으실 이야기~


감히 '엄마 찾아 삼만리'와 함께 역사에 남을 걸작으로 기억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 '플란다스의 개'


이거슨 추억돋는 <플란다스의 개>의 오프닝... 네로가 어깨를 들썩이며 뛰어가는 저 모습을 흉내내며 주제가를 따라부르곤 했었다.   


플랜더즈 지방 (현. 벨기에)에서 애완견이라기 보다는 후견인 같은 파트라슈와 유일한 혈육인 할아버지와 함께 우유배달을 하는 가난하지만 미술에 재능이 있는 소년 네로의 이야기.  주인공이지만, 가난하다는 이유로 단짝 아로아와 노는 것도 금지되고, 부잣집 아로아의 아버지한테 늘 구박을 받는 가난한 소년.  하지만, 사랑과 예술혼 넘치는 어린이. 


루벤스의 그림을 보고 싶은데, 커튼을 걷고 구경을 하려면 금화 한닢을 내야하는데, 그 동전이 없어서 항상 커튼이 쳐진 그림 앞을 서성여야만 하는 아이....  성냥팔이 소녀처럼 눈 내리는 겨울에 얼어죽은 아이.  죽음 직전 드디어 그는 환영속에서 그토록 보고 싶었던 루벤스의 그림을 볼 수 있는데....

이 감동의 도가니 만화영화가 일본 아니메의 더빙 판이라는 것을 알고 난 것은 어른이 되고 난 후 였고, 거기에다 그것이 영국 작가에 의해 쓰여진 원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그로부터도 한참 지난 뒤였다. 


원작 일본 아니메의 오프닝.... 충격적이게도 멜로디가 똑.같.다.  


그도 그럴것이 Ouida라는 가명으로 활동했다는 프랑스계 영국 작가  Marie Louise de la Ramée는 본국 포함 유럽에서 그다지 알려진 작가는 아니었나보다.  오죽하면, 벨기에 사람들이 이 작품에 대해 알게된 것이 '플랜더즈의 개를 아느냐?'는 일본 관광객들 때문이라는 설이 있겠는가?  인터넷 상에서도 이 책에 대한 소개에 '일본과 한국'에서 유독 인기가 있다는 해설이 있을 정도이고, 토요타에서 그토록 네로가 구경하고 싶었던  루벤스의 작품이 걸려 있는 안트워프의 성모 대성당 (The Cathedral of Our Lady) 앞에 네로와 파트라슈의 동상을 세워준 이후로 '일본에서의 인기'는 더 알려졌으리라.  [요즘 표기법으로는 안트워프는 본토 발음을 따서 '안트베르펜'이라고 한다고... 요새는 그러냐~~? 모르겠다...난 안트워프로 배웠다....  ^^]


이로써 네로는 홍수 때 구멍 난 댐을 고사리 손과 가느다란 팔뚝으로 막아내, 위기에 처한 조국 네덜란드를 구한 소년 다음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가공의  인물인 셈이다. 


일본의 토요타사가 기증했다는 네로와 파트라슈의 동상


이 대목에서 의문이 스멀스멀 피어오른다. 네로가 그토록 보고 싶어했던 루벤스의 작품은 무엇이었던가?  안트워프의 성모 대성당의 루벤스 작품으로는 아래의 3작품이 있다. 

1. <십자가에 매닮 (Raising of the Cross)> (1610) 
2. <십자가에서 내림(The Descent from the Cross)>,(1612-14) 
3. 
<성모승천(Assumption of the Virgin)> (1626)  


Peter Paul Rubens, <Raising of the Cross> (1610)   oil on Panel ; 460 x 640 cm, Cathedral of Our Lady Andwerp


Peter Paul Rubens, The Descent from the Cross (1612-14)  oil on panel ; 420.5 × 320 cm, Cathedral of Our Lady, Antwerp


Peter Paul Rubens, Assumption of the Virgin (1626) oil on panel  ; 490 × 325 cm, Cathedral of Our Lady, Antwerp



만화의 마지막 회에서 네로는 기아와 추위로 인한 환각인지는 모르나 드디어 염원해 마지않던 루벤스의 명작을 보게 되는데, 안트워프의 성모 대성당에 걸린 작품들 중에서 <십자가에 매닮 (Raising of the Cross)>과 <십자가에서 내림(The Descent from the Cross)>을 본다.


 

여기서는 <십자가에서 내림>(1612-14)를 바라보는 네로와 파트라슈가 그려져 있다. 


교회 내부의 전경으로 살펴보면, 예수를 십자가에 올리는 그림이나 십자가에서 내리는 그림 모두 예수의 몸의 곡선이 만들어내는 리듬의 반복으로 인한 통일감이 있다. 

그리고, 정 중앙에는 성당의 이름이 이름인지라 (The Cathedral of Our Lady), 성모가 인간이 아닌 신으로 인정받아 하늘로 오르고 있는 성모 승천의 장면이 그려진 그림이 자리하고 있다. 

 

앤트워프 성모 대성당의 내부


루벤스, <십자가에서 내림>(1612-14) 삼면화: <십자가에서 내림 (the Descent from the Cross)>은 삼면화 로 제작된 작품의 가운데 작품  

그 양쪽으로 <방문 (the Visitation)>, <예수의 성전 봉헌 (the Presentation of Jesus at the Temple)> 을 묘사한 그림을 좌우에 배치했다.    


<십자가에서 내림>은 삼면화 구성으로 제작된 작품의 가운데 작품  그 양쪽으로 <방문>, <예수의 성전 봉헌> 을 묘사한 그림을 좌우에 배치했다.   <방문>은 성령으로 잉태한 마리아가 사촌 엘리자벳을 방문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인데, 이 때 엘리자벳도 세례 요한을 잉태한 상태였다. 그리고 <예수의 성전 봉헌>은 모세의 율법에 따라 성모가 아기 예수를 예루살렘 성전에 바치는 의식을 행하는 장면을 묘사 한것이다. 이 두 에피소드는 카톨릭에서 묵주기도에서 '환희의 신비'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운데의 '고통의 신비' 중 하나인  <십자가에서 내림>과 대조되는 구성이다.  


사실 네로의 분위기가 (라고 쓰고 '플란더스의 개'의 그림체라고 읽는다) 루벤스의 화풍과는 매치가 잘 안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모르긴 몰라도, 네로가 파트라슈를 껴안고 교회앞에서 숨을 거둘때 그의 눈에 떠오른 이미지는 '성모 승천'의 이미지이리라 짐작해본다.  


Peter Paul Rubens, Assumption of the Virgin (1626) oil on panel  ; 490 × 325 cm, Cathedral of Our Lady, Antwerp


만화의 마지막 장면에 이르면, 위의 저 조그만 아기 천사들이 오종종 모여들어 네로의 주변에 모여들기 때문이다.   만화에서는 돔에서 빛이 내려오더니 좀 있다 아기천사들이 총출동해서 네로와 파트로슈를 하늘로 데려가고 있지만, 사실상 돔의 그림은 루벤스의 작품은 아니기 때문이다.


안트워프의 성모 대성당 돔에 그려진 그림


철들고 이 만화를 떠올릴 때면, 어린이용 만화라고 하기엔 너무 비극적이라 자칫 어린이들의 여린 가슴에 트라우마를 남길 수도 있는 이 작품이 일본과 한국에서 이토록 인기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무척 궁금했다.  특히 일본 같은 경우는 기독교가 정착하지 못한 세계 유일한 나라인데 말이다. 하필이면 루벤스의 대표적인 종교화라니...  


하지만, 정작 가장 궁금한건 따로 있었으니, 그것은 정말로 걸작이라는 이유로 작품을 평소에 공개하지 않고 커튼으로 막아놓은 작품이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치사하게 왜 저럴까?  걸작이면 모든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게 해야지. 더군다나 성당이면 모든이에게 열린 장소이거늘....  


이 의문에 대한 탐구, '커튼 너머의 그림'에 대한 다른 이야기는 다음 편에 계속 해가도록 하겠다.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20. 08:00 미술 이야기

Norman Rockwell, Freedom from Want (1943) oil on canvas ; 116.2 x 90 cm, Norman Rockwell Museum, Stockbridge, Massachusetts


추수감사절을 맞이하여, 온 가족들이 할머니 할아버지네의 한 식탁에 모여들었다. 반가운 얼굴들과 이야기 꽃을 피우는 가운데, 할머니께서 온 가족이 실컷 먹고도 남을만큼 커다란 칠면조 통구이를 내오셨다.  할머니께서 식탁에 큰 쟁반을 내려놓으시면 할아버지는 그 칠면조를 가족들에게 나눠주실 심산으로 그 옆에 서서 기다리고 계신다.  모두의 접시 위에 칠면조 구이 조각이 놓여지면, 할아버지의 주도로 기도가 이어질 것이다. 아름답고 행복한 가족을 주신 것과 생활에 부족함이 없게 살 수 있게 해주신 것에 대해 신에게 감사한다는...... 


노먼 락웰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추수감사절'이라는 말을 들으면많은 미국인들의 뇌리에 이 그림이 떠오를 것이다.  


미국의 유명한 시트콤 '모던 패밀리'에서의 락웰 <추수감사절> 패러디  - 미국 사회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들 - 다문화 가정, 동성애 커플, 청소년 문제 - 등을 다 가지고 있는 미국의 중상류층의 가정을 배경으로 한 코믹시트콤. 그런 가족이 보수적이며 온건한 미국의 중산층 가정을 대변하는 락웰의 <추수감사절>을 재현한다는 것에서 코믹한 요소가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대중적인 인기가 워낙 높은 락웰이었지만, 이 작품의 인기는 특히 높아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고, 이후 수많은 패러디가 제작되었다. 락웰의 작품은 거의 다 '그림으로 그린듯한' 이상적인 미국인들의 생활상을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화목한 가정을 묘사할 때 '노먼 락웰-같은 가족 (Norman Rockwellish Family)'라고 하기도 한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락웰이 미국 사회의 어두운 면, 현실의 어려운 면은 외면한 채, 설탕물을 바른 쓴 알약, 당의정같은 작품을 그렸노라 하는 비판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라보고 있노라면, 평화롭고 아름다웠던 시절, 혹은 한번도 누리지 못했으나 가졌으면 했던 행복한 시절을 떠올리며 흐믓한 미소를 띄게 되는 그의 작품은 줄곧 인기가 높았다.      


이 작품은 '4가지의 자유' 중 하나 Freedom of Want (기본 의식주가 부족하지 않을 권리)의 주제로 그려진 작품이다.  [그 밖의 세가지로는 Freedom of Speech (언론과 표현의 자유), Freedom of Worship (신앙의 자유), Freedom from Fear (공포로부터의 자유)이 있다]  그리고, 시리즈로 제작되었던 작품은 아래와 같다.


Norman Rockwell, Freedom of Speech (1941-45) oil on canvas ; 116.2 x 90 cm, National Archives at College Park 


Norman Rockwell, Freedom of Worship (1941-45) oil on canvas ; 116.2 x 90 cm, National Archives at College Park 


Norman Rockwell, Freedom from Fear (1941-45) oil on canvas ; 116.2 x 90 cm, National Archives at College Park 


1941년 12월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 연합군으로 참전을 결정하게 되는데, 그 해 1월, 루즈벨트가 '4가지 자유'라는 제목의 국회 연설을 하게 된다.  '세계의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미국이 참전할 수 밖에 없다는 정당성을 부여하는 내용이다. 락웰의 작품은 이러한 이데올로기, 즉, 당시 파시즘과 대조하여 민주주의가 더 우위에 있다는 것 강조하는 이념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작품은 순회 전시되면서 전쟁 채권의 판매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 


 John Currin, Thanksgiving (2003), oil on canvas ; 173 x 131 cm, Tate



위의 작품은 존 커린 (John Currin)의 <추수감사절>이라는 작품이다.  코린트 양식의 기둥이 있는 화려한 저택, 세 명의 여인이 추수감사절을 맞이하고 있는 모양이다. 일견 부유해보이는 이 저택의 식탁에는 그러나, 요리되어 있는 음식이 없다 - 생 칠면조, 껍질도 까지 않은 양파 한 알, 시들어가는 꽃이 꽂힌 꽃병, 빈 접시, 이러저리 널려있는 포도만 있을 뿐이다. 그리고 여인들 중 어느 누구도 제대로 먹고 있는 인물이 없다. 한 명이 스푼에 뭔가를 담아 다른 한 명에게 권하고 있으나, 상대방은 받아먹으려는 것인지 그 스푼을 피하려는 것인지 알 수 없게 입은 벌리고 있으면서도, 목을 쭉 빼고 윗 쪽으로 고개를 향하고 있다. 


이 작품의 제목은 <추수감사절>이지만, 과도한 다이어트, 혹은 거식증을 이야기 하고 있다. 먹을게 없어서가 아닌 자발적인 기아. 존 커린이 자주 언급하는 '미의 기준'에 대한 언급이자, 현대인들이 과도하게 집착하는 '깡마른 미'에 대한 비판이다. 

이번 추석 우리 가족의 식탁은 어떤 모습일까?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19. 07:30 미술 이야기

Bartolomé Esteban Murillo, Two Women at a Window (c. 1655–60),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지금 창 밖에 서있는 인물은 누구일까?  귀엽게 생긴 소녀는 호기심 가득한 눈망울을 하고 입가에는 잔잔한 미소를 머금은 채 창 밖의 인물을 바라보고 있고, 그 소녀의 뒷편에는 좀 나이들어 보이는 한 여인이 한 손으로는 창문을 잡고 또 다른 손으로는 터져나오는 웃음을 막으려는 듯 숄로 입가를 가리고 서있다. 

부드러운 갈색톤으로 그려진 이 그림은 색상이 주는 평안함과 더불어 두 여인의 살아있는 표정, 그리고 소녀의 눈 높이가 관람자의 그것과 일치하는데서 오는 친근감으로 바라보는 이로 하여금 함께 미소짓게 만드는 따뜻함이 깃들어 있다.  더할나위 없이 사랑스러운 작품이다. 

이 그림은 세비야 출신 스페인의 바로크 화가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의 '창가의 두 여인'이라는 작품이다.  무리요는 스페인이 낳은 최고의 바로크 화가 벨라스케스보다는 후대의 인물로 당대에서는 종교화로 크게 명성을 날렸던 화가인데, 이런 생활 속의 장면들을 묘사한 장르화도 몇 점 남겼다.  그가 특히 관심을 가졌던 것은 2차원의 화면과 관람자와의 관계라고 하는데, 이 작품은 관람자를 그림과 긴밀한 관계를 맺게하는데 성공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창틀과 화면을 일치시킴으로서 '회화와 창'이라는 전통적 메타포를 실현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전통은 전 시대 르네상스 네덜란드 작가들에게서 널리 활용되었었다. 

그 대표적 예로는 한스 메믈링의 '축복을 내리는 그리스도'가 있다.  창틀과 화면의 하단을 일치시켜 표현한 절묘함을 보라!  

이 작품에서는 예수를 너무 거룩해서 쳐다볼수도 없는 위엄 가득한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검소한 옷을 입고, 창틀에 한 손을 얹은채, 그 그림이 걸려 있는 집안을 들여다보며 축복을 내리는 듯한 친근하고 겸허한 모습으로 그리고 있다.   


Hans Memling (1430–1440 to 1494), Christ Blessing (1481), oil on panel ; 35.1 x 25.1 cm, Museum of Fine Arts, Boston     


무리요의 작품에서도 소녀가 팔을 얹고 있는 창틀은 화면의 하단과 일치하여, 회화 작품이 창문이라는 설정에서, 아름다운 소녀가 창턱에 한 팔을 걸치고 또 한팔은 세워 한 손으로 턱을 괸 채 관람객 쪽을 바라보고 있다. 이 스페인 화가는 네덜란드에서의 화법을 익히 알고 있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무리요는 이 작품에서 종교화와 초상화에서 주로 활용되는 화법을 장르화로 옮겨 표현하는데 멋지게 성공했다.   

어쩌면 소녀의 앞에서는 수줍은 청년이 서툴게 구애의 노래를 하고 있는지도 모르고, 꽃다발을 건네려고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미소를 띈 채 기대에 찬 눈빛을 보내는 소녀를 계속 바라보다보면, 왠지 작은 꽃다발이라도 하나 건네야할 것만 같다.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17. 07:30 미술 이야기

흔히 미의 여신 비너스는 아름다운 여인의 누드로 표현된다. 하지만, 이폴리트 플랑드랭은 청년의 누드로 지극히 고요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어떤 사연을 가지고 바닷가에 올 누드로 저런 포즈로 앉아있었어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인체가 표현해내는 곡선과 사색적인 포즈, 그리고 저 멀리 보이는 푸른색의 바다와 하늘.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 고요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고 있다. 


Hippolyte Flandrin (1809-1864), Young Man by the Sea (1836) oil on canvas ; 98 x 124 cm, Musée du Louvre, Paris


이 젊은이의 동그랗게 말린 등의 곡선이 아름답다고 느낀 것은 비단 나뿐은 아니었고, 그렇게 동그란 등을 가진 인물이 저 젊은이가 최초도 아니다. 


Piero della Francesca, Resurrection (c.1460) the Palazzo della Residenza, Tuscany, Italy 


초기 르네상스 화가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부활>에서는 예수님이 다시 깨어나시는 역사적 순간을 놓치고 잠이 들어버린 안타까운 보초병들의 한명이 등을 동그랗게 말고 앉아있다. 


Piero della Francesca, Resurrection (c.1460) the Palazzo della Residenza, Tuscany, Italy, 세부 


그리고,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보초병과 플랑드랭의 청년에게서 영감을 받은 화가가 있으니 그가 바로 19세기말의 신인상주의자 조르주 쇠라 (1859-1891)이다. 


Georges Seurat  (1859-1891), Bathers in Asnières (1884, retouched 1887)  oil on canvas ; 201 x 300 cm, National Gallery   



일요일 강변에 물놀이를 하러 나온 청년들을 그린 <아니에르에서의 목욕하는 사람들>에는 플랭드르의 누드를 연상시키는 굽은 등의 청년이 등장한다. 


Georges Seurat, Bathers in Asnières (1884, retouched 1887)  세부



그리고,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보초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청년도 눈에 띈다. 굽은 등과 세운 무릎, 그리고 보초가 입은 외투의 주름을 연상시키는 주름진 바지에서 쇠라가 확실히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포즈는 원경의 흰색 옷을 입은 남성에게서 다시 반복되고 있다. 


Georges Seurat, Bathers in Asnières (1884, retouched 1887)  세부


그리고, 아래의 작품은 아베 코야의 프린트 작품. 플랑드랭의 작품 이미지에 우타가와 쿠니요시의 문신의 이미지를 덮어 씌운것.  플랑드랭의 작품이 서구의 미를 표현했다면, 거기에 우타가와 쿠니요시의 문신을 함께 표현하여 이를 통해 동양의 아름다움을 결합한 것이라고.... ('이레즈미'라고 하는 문신.  뜯어보면 아름답긴 한데, 저 청년은 우리나라 대중탕은 출입하기 힘들 것 같다) 


Abe Koya, Inkjet print combining Young Man Beside the Sea by Hippolyte Flandrin and Ding Desun and a Snake by Utagawa Kuniyoshi. From an edition of 10.  55.9 x 43.2 cm, reproduced by permission of the artist ©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한번 보면 잊기 힘들 정도로 아름다움을 지닌 플랑드랭의 청년의 등, 그러나.... 그것은 건강에는 좋지 않다.  정녕 건강과 아름다움은 함께 갈 수 없는 것인가~~  어쨌든 척추가 바로 잡혀야 건강하다는 사실!  바른 자세로 생활합시다!  



posted by 잠자는 집시
prev 1 2 3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