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비트 코인 신드롬에 대해서 튤립 매니아 (Tulip Mania)와 비유하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오늘은 새로운 시리즈 전에 잠시 단편극 형태로 튤립 매니아와 미술사와의 관련에 대해서……
"튤립 매니아" 혹은 "튤립 광풍"이 용어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자면, 소위 네덜란드의 ‘황금시대’라고 일컬어지던 시기, 희귀 품종의 튤립의 구근에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어 상상을 초월한 고가로 거래되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그렇게 과열된 투기로 일대 열풍이 일었다가, 1637년 갑자기 가격이 폭락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도산하거나 빚더미에 올랐다고 한다.
1636년~37년 사이의 튤립 가격 그래프
이 사회적 현상에 대해, 역사상 최초의 투기가 관련된 버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특정 품종의 구근 하나의 가격이 크기에 따라 3,000~4,200 길더나 되었다는데, 이 가격은 당시 숙련된 기술공의 1년치 월급이 불과 300 길더였다니, 10년치 월급을 훨씬 웃도는금액이라고 한다.
Admirael van der Eijck from the 1637 catalog of P.Cos., sold for 1045 guilders on February 5, 1637. 1637년 1045 길더에 판매된 튤립. 이게 거의 튤립 광풍의 끝자락의 꽃. 같은 해 열기는 폭삭무너지게 되니까.
이런 투기의 배경에는 우선 식물학의 발전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카롤러스 클루시우스 (Carolus Clusius)라는 분이 일찌감치 왕실의 개인교사로 일하다가 라이덴 대학의 식물학 교수로 임명되면서 식물학 연구에 혁혁한 공을 세우게 되는데, 그 중 그가 몰두한 분야가 튤립의 연구였다고 한다. 그렇게 연구에 몰두하던 중, 그는 튤립에서 일종의 돌연변이를 발견하게 되고, 그것이 귀족들 사이에서는 수집벽을 불러 일으키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오늘날 밝혀진 바로는 그 돌연변이로 알려졌던 희귀품종은 사실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그런 모양이 나온 거라고 하는데, 당시엔 아무도 그 사실을 알지 못했던 것이다.
그리고 웃돈이 붙게 된 배경에는 튤립의 독특한 생태계도 한몫을 했다. 튤립이라는게 원체 씨를 뿌려서 제대로 된 꽃으로 자라는데 무려 4~5년이 넘게 걸린다 한다. 그리고 그렇게 키워도 씨를 받아낸 엄마 꽃과는 다른 모양의 꽃으로 자라는 게 또 함정. 그래서, 보통의 경우, 구근을 받아서 그 구근에서 꽃을 피워야 엄마 꽃과 비슷한 모양이 될 확률이 훨씬 높고, 자라는 시간도 훨씬 단축이 된다고. 그렇지만, 구근이라는게 한 꽃에서 그다지 많이 나올 수 없는 것이고, 구근에서 싹이 나서 잎과 꽃으로 완전히 자라는데 시간이 걸리니, 거기에 웃돈이 막 걸리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그 구근을 거래 하는 시장이 우리가 상상하는 것처럼 밝은 태양 아래, 꽃이 흐드러지게 핀 아름다운 꽃밭에서 우아하게 이뤄지는것도 아니었다. 거래는 음침하고 은밀한 주점의 뒷방, 담배연기로 가득한 밀실에서 암암리에 은밀하게. 그렇게 음성적인 거래였기에, 나중에 탈이 났을 때, 그 거래에 대한 보상을 받을 기회도 적었다.
어쨌든 한 십수년 네덜란드 전역에 튤립 광풍을 일으키다가 무슨일인지 갑자기 거품이 쫘악 빠지면서 갑자기 가격이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서 판돈을 미리 맡겼던 중산층의 매수인들의 가정이 줄줄이 도산하는 결과를 맞게 되었다고! 국가에서 빚을 탕감하는 정책도 폈다고는 하는데, 피해자들을 다 구제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한동안 뜨거웠던 비트 코인의 열풍을 우려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이 튤립 매니아, 튤립 광풍이 역사적으로 되풀이 되는 건 아닌가 염려하는 것이었으리라.
위의 그림은 유명한 화가 피터 브뤼헬 더 엘더의 아들이었던 얀 브뤼헬 더 엘더의 꽃 정물화. 아래는 아이러니하게도 튤립 광풍에 대한 희화화를 그린 브뤼헬인데, 이번엔 피터 브뤼헬 더 엘더의 손자이자 얀 브뤼헬 더 엘더의 아들인 얀 브뤼헬 더 영거의 작품. 아래의 풍자화에서는 상류층의 귀족들이 얼빠진 원숭이들로 묘사되었는데, 이들도 하나같이 튤립에 열광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중 더 얼빠진 원숭이가 튤립 꽃밭에 오줌을 누는 바람에 붙잡혀서 혼나고 있는 장면도 보이고 있다.
위의 그림은 튤립 광풍에 맥없이 휘둘린 사람들에 대한 풍자화. ‘바보들의 마차’라는 제목의 작품속 인물들을 보면 마차 위의 인물들은 튤립 열풍에 휩싸여 흥청망청하고 있고, 그 마차를 맹목적으로 따르고 있는 인물들도 보인다. 그 마차가 향하고 있는 곳은 죽음의 세계. 결국 멸망의 길로 기꺼이 가고 있는 어리석은 인간들에 대한 신랄한 풍자화이다. 이 작품이 그려진 것이 1637년 인걸 보면, 튤립 가격의 폭락이 있고 나서 그려진 그림일까? 아니면, 그 폭락의 직전, 폭락을 예견한 그림이었던 것일까?
위의 그림은 돌연변이 종으로 크게 인기를 끌었던 젬퍼 아우거스터스 튤립 Semper Augustus tulip 으로 가득 찬 화병이 그려진 작품이다. 이 이상 확실한 인생무상, ‘바니타스’* 교훈의 화병이 또 있을까 싶다. 아이러니한 것은 정작 튤립 시장이 폭락했던 1637년 동안은 꽃의 정물화의 제작이 거의 없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그거슨~~ 꽃들을 볼 때마다 튤립 때문에 돈을 잃은 사람들이 맘이 너~무 아파서 꽃 그림 조차도 보고 싶어하지 않아서였다고.
역사는 반복되는 것일까? 아니면 인간은 역사에서 무엇인가를 배워서 지난 과오는 반복해서 범하지 않는 슬기로운 존재일까? 앞으로 비트 코인의 열풍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 것인지 자못 궁금해진다. 어차피 소심한 나는 그냥 궁금해만 하겠지만.
*바니타스 정물화에 대해서는 글이 너무 길어지는 관계로 다음 기회에 따로 다뤄야겠다. ^^
'미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소식 - Edward Hopper "Chop Suey" (0) | 2018.11.17 |
---|---|
요새 미술-제프 쿤스의 표절 사건 (2) | 2018.11.11 |
단순화한 현대미술 한 컷의 원조-Alfred H. Barr (0) | 2018.11.08 |
바니타스 정물화 - Vanitas (0) | 2018.11.06 |
좀 지난 전시회 이야기-<모리스 드 블라맹크> 전 (0) | 2018.11.04 |
단순화한 현대미술 한 컷 - Simplified Modern Art (0) | 2018.11.02 |
세상에서 가장 비싼 작품들 랭킹-인플레 고려 1위 레오나르도 다 빈치 (0) | 2018.10.31 |
세상에서 가장 비싼 작품들 랭킹-인플레 고려 3위 폴 세잔 (0) | 201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