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4. 6. 02:43
미술 이야기
미술에서의 여성이 '아름다움'의 상징이 아니라 '힘'의 상징으로 사용된 아주 드문 그림들 이야기.
https://sleeping-gypsy.tistory.com/12
개그맨 김숙의 ‘조신한 남자 찾기’와 서구 미술 전통 속의 “Power of Women”
‘어디 다 늦게 밖을 쏘다녀, 돈은 내가 벌거야. 당신은 조신하게 집에나 있어.’ ‘무슨 소리야! 운전은 내가 해야지. 도시락은 뭘 싸오려나…’ 남자의 입에서 나왔다면 시대착오적인 발언이라고 빈축을 샀을지..
sleeping-gypsy.tistory.com
'미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적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 Jan van Eyck 의 Ghent Altarpiece를 내 방에서 볼 수 있다. (0) | 2019.04.10 |
---|---|
에드워드 호퍼 (Edward Hopper: 1882-1967)에 관하여 (0) | 2019.04.09 |
2019년은 렘브란트의 해? - 네덜란드 국립 미술관 Rijksmuseum (0) | 2019.04.08 |
이전 글) 우리 모두가 안고 살아가는 문제 (The Problem We All Live With) - 노먼 락웰 (Norman Rockwell)의 덜 코믹한 작품에 대해서 (0) | 2019.04.07 |
이전 글) 록키와 뒤샹과 세잔 (0) | 2019.04.05 |
바사리의 <르네상스 미술가평전> 번역집 출간 소식 Giorgio Vasari, Lives of the Most Excell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1550) (0) | 2019.04.04 |
이전 글) 해리포터와 호쿠사이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0) | 2019.04.03 |
이전글) 이쁘면 진리다~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0) | 201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