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과 사자 :: 내 맘대로 작품보기-17세기 바니타스 회화 한점
2020. 3. 18. 20:29 미술 이야기

오랜만에 돌아온 '내 맘대로 작품보기' 시리즈!  시국이 시국이다보니, 또 이런 그림 하나가 유난히 눈에 들어왔다.    

17세기 플랑드르의 바니타스 회화.  현세에 사람들이 탐낼 만한 것들이 다 늘어져 있는 거실의 풍경과 죽음을 상징하는 해골이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함께 담겨져 있다.  죽음의 무도회와 보다 전형적인 바니타스 정물화가 결합된 형태. 여기에 서민들의 삶을 풍자적으로 그렸던 풍속화적 특징이 결합되어 있다. 

엊그제 '죽음의 무도회'에 관한 글을 하나 올렸고, 그 때 이전에 올렸던 '바니타스'에 대한 글도 링크를 걸어두었다.   이 그림은 엊그제의 포스팅에서 소개되었던 '죽음의 무도회 (Danse Macabre)'와 '바니타스 정물화'의 주제를 다 포함 할 뿐 아니라,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유행했던 장르화에 해당한다.

우선 '죽음의 무도회'에 관련된 면을 살펴보자.  죽음은 깃털로 장식을 한 붉은 모자를 쓰고 해골로 나타내고 있는데, 그는 죽음의 갑작스런 등장에 당황해 보이는 집주인으로 보이는 남자 앞에서 만다린을 연주하고 있다.  그림속의 그림, 화면의 왼쪽의 그림에서도 같은 장면이 그려져 있어 '죽음의 무도회'라는 주제를 반복하고 있다. 

이 작품에는 동시에 전형적인 바니타스 정물화의 주제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바니타스 정물화에는 현세에서 인간들이 원하는 것들 - 금은보화, 화려한 생활, 진수성찬 등 - 을 나열해 그리는 것이 특징인데, 이 작품에는 화려하게 꾸며진 방안에 고급스러운 옷차림을 한 사람이 식탁앞에 앉아 있다. 그의 앞 마루 바닥에는 금화가 쌓여 있고, 값비싼 접시들이 넘쳐나게 늘어뜨려져 있다. 풍성한 식탁의 뒷쪽 장식장에도 금은보화가 넘쳐나고 있다. 바니타스 정물화는 이러한 화려하고 값비싼 사물들을 화면에 담아냄으로써 보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해주는 동시에, 그러한 현세의 부귀영화가 실은 덧없는 것이고, 진정한 가치는 신의 뜻에 따라 살아서 영생을 얻는 것에 있다는 교훈을 주고자 하는 목적에서 그려진 그림이다. 

바니타스 정물화에는 금은보화, 진수성찬 등 인간이 욕망하는 대상들을 나열하는 것도 있고, 해골이나 불이 꺼진 촛불 등 보다 직접적으로 죽음을 상징하는 사물들이 그려지기도 한다 (바니타스 정물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때로는 아름답고 풍성한 꽃들이 그려지기도 하는데, 여기서 꽃은 '아무리 아름다운 꽃이라도 그 아름다움이 지속되는 것은 순간에 불과하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때로는 악기와 악보가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덧없음'을 상징하는데, 이는 음악 역시 머물지 않고 공기 속으로 날아가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골이 연주하고 있는 악기 역시 어떤 의미에서는 그 자체로 죽음과 인생의 덧없음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Evert Collier의 바니타스 정물화 (1705) 화가의 자화상을 담고 있는 이 바니타스 정물화는 식탁 가득한 금은보화와 권력을 상징하는 왕관과 홀, 지구본과 칼 등이 늘어져 있다.  이러한 바니타스 정물화에서는 책들도 등장하면 이는 인간의 지적인 욕구를 나타내며 경계의 대상이 된다.  화면의 책의 한 페이지에는 라틴어로 '죽기전에는 행복을 평가할 수 없다'는 내용을 명기하고 있다.  

대표적인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의 화가 중 한 명인 에버트 콜리어의 1705년 작품은 보다 전형적인 바니타스 정물화의 예라고 할 수 있다. 화가의 자화상을 담고 있는 이 바니타스 정물화에는 식탁 가득히 인간이 욕망하는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든 것들이 담겨져 있다.  금은화와 값비싼 귀금속들은 물론, 지상의 권력을 상징하는 왕관과 홀, 지구본과 칼 등도 그려놓고 있다.   화면의 오른쪽에는 책들도 등장하고 있는데, 주지할 사실은 바니타스 정물화에서의 책들은 성경인 경우, 현세적 사물에 대비되는 정신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때로는 인간의 지식욕을 상징하는 것으로 그 또한 경계해야할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이다.  여기 등장한 책에는 왼쪽 페이지에는 "Sic transit gloria mundi" 오른쪽 페이지에는 "Nemo ante mortem beatus  dici potest"라는 라틴 문귀가 적혀져 있는데  이는 각각 "그러므로 지상의 영광은 지나가리라"  "아무도 죽기 전에는 누가 축복을 받았는지 알지 못한다 (즉, 미래에는 어떤 일이 생길지 알 수 없다)"라는 의미이다.  화가는 이 그림의 의미를 혹시라도 그냥 화려하고 아름다운 사물들을 그림으로 오해할까봐 이 작품의 의미를 분명히 밝히고 있는 것이다. "바니타스" - 지상의 것들이 얼마나 헛되고 헛된 것인가!

오늘 살펴볼 그림에는 이처럼 바니타스 정물화의 주제를 나타내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당시에 유행하던 풍속화의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 있다. 

Jan Steen, Beware of Luxury (1663) 얀 스틴의 '사치에 대한 경계'라는 제목의 장르화. 흥청망청 살다보면 거지꼴을 못면한다는 것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는 풍속화이다. 흐트러진 인물들과 속된 말로 '개판'인 집안 꼴을 보여주면서 바람직하지 못한 삶의 다양한 면면을 보여준다. 바니타스 회화의 일종의 변종과도 같은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유머와 풍자를 담고 있다.  

위의 작품은 장르화라고도 불리는 풍속화로 유명한 얀 스틴 (Jan Steen)의 작품으로  <사치에 대한 경계 (Beware of Luxury)>(1663)이다.  그림 속에는 반면교사 역할을 하고 있는 흥청망청 살고 있는 인간의 군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근면과 성실을 중시하는 개신교적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다. 바니타스 정물화와 일맥상통하는 주제가 있긴 하지만 훨씬 더 대중적이고 풍자와 유머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런 종류의 장르화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은 보통 바닥에 물건들이 어지럽게 늘어뜨려져 있는 모습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모습은 오늘 우리가 살펴보는 작품에서도 보인다. 값비싼 그릇이나 금은보화, 도자기들이 찬장에도 대충 쑤셔넣어진 상태이고 바닥에 어지럽게 어질러져있다. 바람직하지 못한 모습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어지럽혀진 내 방안을 돌아보며 반성하곤 한다)  강아지나 고양이, 다른 가축들이 등장해서 인간이 먹어야 할 음식들을 먹고 있는 모습 역시, 위계질서 분명한 기독교 가치관에서 무질서를 상징하며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장르화에서 원숭이는 허세나 어리석음 자체를 상징하거나, 잘난척하거나 허세부리는 어리석은 인간의 우화이기도 한데, 오늘 살펴보는 그림에서도 그 원숭이가 등장하여 건방지게 담배까지 피우고 있다.     

오늘 살펴본 작자미상의 17세기 장르화는 미술사적으로 깊게 연구해보기에는 자료가 풍부하지 않을지 모르나 여러가지 주제가 곁들여져 있는 종합선물세트 같은 작품이라는 면에서 '내 맘대로 작품보기'에는 아주 적합한 흥미로운 작품이다.  

This shall too pass~

posted by 잠자는 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