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과 사자 :: 마르셀 뒤샹의 '샘' - 독창성과 진품성에 대한 도전
2020. 8. 30. 23:48 미술 이야기

아마 현대미술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마르셀 뒤샹의 '샘'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혹시라도 작가의 이름이나 제목인 '샘 (Fountain)'은 모르더라도 '남성 소변기를 엎어둔 것'이라는 설명을 들으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을 것이다. 

Marcel Duchamp, Fountain, (1917) photograph by Alfred Stieglitz (source: Wikipedia)

이번 여름 학기 수업 시간에도 꽤 긴 시간을 할애해서 이야기했지만, (지금은 연기되어버린) 가을 학기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일련의 수업도 이 '샘'과 함께 열 것이다.  이 작품에 대한 미술사적 평가나 자초지종은 다 알고 있으리라 믿지만, 혹 기억이 가물가물한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글의 흐름을 위해서 여기서 다시 간략하게 설명을 하자면, 

마르셀 뒤샹은  1917년  약간의 참가비 ($6)만 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그런 전시에 철물점 변기를 하나 사서는 거기에  R. Mutt 라는 서명을 하고는 《샘》이라는 제목으로 출품하게 된다.  (이 R. Mutt라는 이름은 도자기로 만든 변기를 제조하는 회사의 이름 Mott Iron Works와도 비슷하지만, 'mutt'라는 단어 자체는 '잡종개'라는 의미도 있고, '바보 멍청이'라는 의미도 있다. 말장난을 즐겨하던 그다운 작명이다.)  이렇게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상품' 그것도 그닥 우아하지 않은 '변기'를 미술전시회에 떡 하니 내려고 하면서, "예술작품이 예술작품이 되는 것은 작가의 '손'으로 '제작'된데 의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선택' 즉 그의 '아이디어'에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결국 그 문턱 낮은 전시에서조차도 퇴짜를 맞았지만, 그의 그러한 황당무계한 행동과 그 이면의 개념은 이후 미술의 판도를 바꾸게 된다.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보자면 그는 모더니즘 미술에서 그토록 중시하던 '독창성 (originality)'과 '진품성 (authenticity)'이라는 개념에 정면으로 도전한 것이다.  우리가 <모나리자>를 철통같은 경비하에 유리액자에 넣은 상태로 전시를 해도, 바글바글 모인 사람들 틈바구니에서도 조금이라도 가까이  한번 보겠다고 애를 쓰는 이유는 그 작품이 그 유명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유일무이'한 걸작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품에서의 ‘아우라’의 아성이 위협받게 되는 결정적 계기는 사진과 영화 때문인데, 여기에 대해서는 1936년 발터 벤야민의 “기계적 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라는 중요한 에세이에서 다뤄진 바 있다. 

뒤샹의 <샘>이라는 작품은 이후 작가들이 창작을 하는 태도에 획기적 변화를 야기했고, 문자그대로 '변기'를 제작하는 작가들도 적지 않았다.  대표적 일례로 이탈리아 작가 모리조 카텔란 (Maurizio Cattelan)이 <아메라카>라는 제목으로 구겐하임 화장실에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시한 황금변기가 그 예이다. (관련 포스팅은 여기를 참조!)

 

2016년 뉴욕 구겐하임에 전시되었던 (?) 아니, 구겐하임 미술관의 화장실에 설치되었던 모리조 카텔란 (Maurizio Cattelan)의 <America>. 변기를 <미국>이라 명명해서 논란이 되었고, 이후 영국으로 옮겨서 전시를 하는 와중에 도난당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또 한차례 논란이 되었다. 미국의 황금만능주의를 비판하고자 했다는 작가의 말은 실은 진부하기 짝이 없고, 뒤샹의 <샘>이 없었다면 존재했을까 싶고, 뒤샹의 작품에 대한 참조라는 의미라는 쪽이 작가가 밝힌 제작의도보다 훨씬 재미있다.

 

그렇다면 뒤샹은 왜 하고많은 대량생산된 공산품 가운데 남성용 소변기를 택한 것일까? 여기에 대한 연구서가 그 많고 많은 뒤샹에 대한 글들 중 어디엔가는 있을지 모르지만, 난 아직 발견하지는 못했다. 다만, 개인적으로 제목이 '샘 (fountain)'이라는데서 힌트를 얻어 짐작해보곤 했다. 우리나라 개론서에는 주로 '샘'이라고 쓰고 있지만, 원제는 Fountain. 번역한대로 '샘'이라는 뜻도 있고 '분수'라는 뜻도 있다. 그리고 하나 더, 식음용으로 설치해둔 수도를 지칭하기도 한다. (좀 더 친절하게 Drinking Water Fountain이라고도 한다.) 발 쪽의 페달을 밟거나 측면의 버튼을 누르면 물줄기가 퐁퐁퐁 솟아 올라 거기에 입을 갖다대면 물을 마실수 있는 장치이다. 

우리나라는 공공 시설이나 건물에 가면 큰 정수통이 엎어져 있는 정수기나 정수기 기계가 따로 설치되어 있어 물을 마실 수 있는 곳이 많은데, 미국의 경우, 수도랑 직접 연결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 명칭이 '샘 (fountain)'이다.  비교적 최근 건물의 경우,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진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20세기 초반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의 경우 흰색 도자기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더 많다.  몇 개의 예를 들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샘

모르긴몰라도, 뒤샹이 뉴욕에서 살았을 당시 스테인레스 재질보다는 흰색 도자기로 만들어진 '샘'이 더 많았을 것 같은데, 어쩌면 뒤샹이 남성 소변기를 엎어놓은 것은 이 식음용 샘의 형태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닐까 한다. 파리 다다에 참가했고, 이후 뉴욕으로 건너와서는 뉴욕 다다를 이끈 뒤샹으로서는 놀랍지도 않은 삐딱함이다. 소변기를 가져다가 물마시는 장치와 같은 모양으로 배치하고 제목까지 '샘'이라고 붙인다. 이러한 상식의 전복은 다다의 기본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소변기를 뒤집어 '제시'한 것은 '배설'을 위해 만들어진 장치를 '섭취'를 위한 장치로의 변모를 꾀하는 전복도 함축된 것은 아닌가 하는게 내 생각이다. 물론 여기에는 성적인 함축도 있는 것같기도 하지만 말이다. 뒤샹이 성장기에 프로이트 선생이 말씀하시는 '항문기' 시절에 어떤 사건이 있었는지도 모르지만, 이후 미술 분야에서 유독 '변기'를 활용하는 작가가 많은 것은 뒤샹의 유산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싶다.

클래스 올덴버그의 <부드러운 변기 (Soft Toilet)> (1966) 휘트니 미술관 소장
서도호 작가의 '변기'모양의 설치

  

 

 

 

posted by 잠자는 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