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비평가들은 '일개 일러스트레이터'인 노먼 락웰의 작품을 심각하게 여기지는 않았지만, 오늘날 다시 봐도 그만큼 인간의 심리를 잘 포착한 작가도 사실은 드물어 보인다. 그가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의 표지를 담당했던 시기 무려 47년. 1916년부터 1963년까지로 미국이 공황과 전쟁, 그리고 케네디가 암살을 당했던 시기를 다 아우른다. 개인적으로도 행복한 일만 있었던 것은 아니고, 락웰 스스로가 개인적으로는 우울한 기질의 소유자라고 했다고 하니 그가 표지로 그렸던 작품들이 '냉혹한 현실의 표현'이라거나 '작가의 자아나 실존의 표출'이 아니었음은 알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예술 작품이 다 그렇게 실존의 표명이라야만 한다는 규율은 또 어디에 있는가?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은 미국 소도시에서 소박하고 행복하게 사는 인물들이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미소를 머금었고 행복해 했고, 그래서 그는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는 현실의 문제에 대해서는 눈을 돌려 당의정을 입혀 표현한 작가라는 비판을 의식해, 자신은 주변 세상이 그렇게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그랬으면...하는 소망'을 담아 그린다고 천명한 바 있다. 이후 'Look'이라는 사회성 짙은 잡지로 옮겨가서는 보다 사회비판적 작품을 그린 것을 보면 그러한 낙천적이고 소시민적 행복감 넘치는 그의 작품의 주제는 그가 표지를 담당했던 'Saturday Evening Post'의 잡지 성격에도 영향을 받았음에 분명하다. 때로는 '대한 뉘우스'급의 바른생활 어린이스러움이 좀 오글거리긴 하지만, 그의 유머와 위트, 세상을 보듬는 따뜻한 시선은 높이 살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다음번 리바이벌 때에는 존 커린 (John Currin: 1962-)에 대해서 좀 써보기로 하련다.
물론 직접 작품을 보는 것이 예술 감상의 가장 좋은 방식이라는 건 오늘날에도 적용되긴 하지만, 오늘날에는 직접 보는 것과는 다르지만 이를 대체할 수 있다.
벨기에의 겐트시 (Ghent)시의 성 바보 성당 (St. Bavo Cathedral)에 소장된 휴버트와 얀 반 에이크 형제가 그린 '신비로운 양 (The Mystic Lamb)'(1432), 혹은 겐트 제단화로 알려진 작품만 해도 그렇다. 플랑드르의 대가로 알려진 얀 반 에이크가 그의 형과 공동작업으로 제작한 이 복잡한 제단화는 미술사 개론서에 실리는 경우에도 다면화가 접힌 상태이거나 일부만 이미지가 제공되어 전체적인 모습을 제대로 감상할 수 없었다. 직접 가서 본 경우는 없지만, 직접 간다 한들 문화유산 급인 이 작품을 관람객이 아주 가까이서 살펴 볼 기회가 있을까는 의문이다.
그러던 이 작품이 오늘날은 게티 파운데이션의 후원으로 보수작업을 끝내서 이전과는 달리 생생하게 이 작품을 감상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앱의 발달로 이제는 내 집에서 컴퓨터로 이 작품을 아주 자세하게 꼼꼼히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Closer to van Eyck 라는 이 앱을 통해서는 이 걸작의 모습을 제단화가 닫힌 모습과 열린 모습을 각각 살펴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수복전과 후를 따로 살펴볼 수도 있다. 그 뿐 아니다. 적외선과 x 레이 등 을 사용해서 다양한 방법 (infrared macrophotography ; infrared reflectography ; x-radiography)으로 촬영한 모습도 관찰할 수 있다. 놀랍지 않은가? 이는 그 옛날, 나귀 타고 작품의 물감이 마르기 전에 도착해서 직접 감상할 수 있었다한들 볼 수 없었던 것들이다. 그것을 이제는 그냥 컴퓨터 앞에서 클릭 몇번으로 다 살펴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예전 개론서나 미술교과서에서 얼핏얼핏 본 적은 있던 이 작품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니 예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감동과 감탄이 절로 나온다. 이는 현대미술에서도 볼 수 없었고, 좀 더 익숙한 이탈리아 르네상스 작품에서도 느낄 수 없었던 종류의 미감이자 표현이다.
나로서는 우리가 진정 '시각의 시대'에 살고 있음을 실감하는 순간이고, 감사해야할 순간이기도 했다. 이처럼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관심사의 변화로 '시각의 시대'에 접어들었고, 이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고 인식하는 방식도 바꾸어 놓았다.
예를 들어, 프랑스 아카데미의 살롱전 리뷰를 18세기의 유명한 비평가인 디드로가 했다고 치자. 그는 우선 그 전시를 직접 볼 수 있는 극소수의 관람자들 중 하나였고, 그 전시는 직접 가보지 않고서는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것을 잘 아는 이 노련한 비평가는 그런 독자들을 위해 '비평' 이전에 우선, 전시실 입구부터 전시장에 전시된 작품들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서술'해야만 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늘날 우리 눈에는 다소 장황하고 세세한 설명과 묘사, 수사법이 활용될 것이고 그 평론의 길이는 상당히 길어진다. 예전 미술사 혹은 비평의 기본은 '작품에 대한 묘사'가 처음에 놓여야 하고, 전체적 서술의 상당부분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만약 오늘날 그런 정도의 '묘사'를 페북에라도 올릴라치면 반드시 '위의 글 세줄로 요약 부탁드려욤'이라는 댓글이 달릴 것이다.
하다못해 전시회 소식을 전하는 기사만 해도 그렇다. 오늘날 기사에는 그 전시에 전시될 주요 작품 사진이 한 두점 실려야 독자들이 눈길이라도 줄 것이다. 만약 저작권이 걸린 작품이라면 하다못해 전시실 입구 사진이라도 하나 실려야 '아~ 이게 전시회 소개 글이구나~' 할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비평이나 미술사 글에는 '묘사'부분이 많이 축소되었다. 그건 사진 하나 '딱 보면' 다 알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거기에는 오늘날 현대미술의 형식에도 원인이 있긴하다. 아무리 길게 묘사를 해도 르네상스 시대 고전의 서사 가득한 작품에 대한 묘사보다 몬드리안이나 도널드 저드의 작품에 대한 '묘사'는 짧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서사가 빠진 자리에 철학이나 미학의 이론이 들어온 것이리라 생각을 한다.)
인스타그램과 같은 포털은 사진이 없으면 성립할 수 없는 매체이기도 하겠고, 블로그나 유튜브나 수많은 앱들이 '시각적' 보조 없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을 것이다. 예전 소설이 유독 지루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오늘날 같으면 사진 한장으로 대체될 수 있는 많은 정보들을 너무나도 자세히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고, 오늘날 독자들 눈에는 '쓸 데없는 정보' 같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그 기나긴 서술은 '안물안궁' 정보인 것이다.
사뮤엘 리차드슨의 1740년 소설 <파멜라>의 경우, 18세기 당시 유럽 최고의 인기를 누렸고, 문학계에서도 영향력이 높았던 작품이다. 언젠가 언급한 바 있는 <위험한 관계>라는 소설에도 영향을 끼친 서간체 소설로 15세 소녀 파멜라의 '미투'운동이라고나 할까? 물론 시대적 지리적 차이로 인한 가치관의 차이는 상당하지만 말이다. 이 18세기 당대 최고의 베스트셀러의 소설을 21세기 오늘날 독자가 읽어내자면 엄청난 인내를 요구한다. 주인공 소녀가 의자에 앉아서 자수를 하다가 자수를 놓던 천을 내려놓고 방문 쪽으로 걸어가서 방문을 여는 과정이 무려 몇 페이지에 거쳐서 서술되기 때문이다. 물론 그 당시에는 티브이나 영화와 같은 오락거리가 드물던 시대였고, 이러한 소설이 일할 필요없던 귀족들의 소일거리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측면에서는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많은 정보는 시각적으로 제공되어 '한 순간에 즉각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할 일 많고 바쁜 현대인에게는 맞지 않는 코드인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미 피카소를 보았고 마티스를 보았기 때문에, 피렌체의 르네상스와 베니스의 르네상스의 색감과 형태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다. 그리고 바로크와 로코코의 차이를 알아내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또 가끔 직접 전시실에서 마주했을 때보다 블로그나 페북에 사진으로 실린 작품이 훨씬 더 나아보이는 작품을 대할 기회가 예전보다 더 늘었다. 실제와 사진과 같은 매체를 통해 대하는 작품과의 괴리에 대해 그렇게까지 깊이 생각할 필요를 못느꼈었는데 말이다. 따라서, 시각 매체가 아무리 발달한다 하더라도 직접 작품과 마주하는 경험은 예술감상에서 여전히 유효하고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2020년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겐트 미술관 (the Museum of Fine Arts Ghent (MSK))에서 개최되는 얀 반 에이크 (Jan Van Eyck: ca. 1390-1441)에 대한 전시회 <반 에이크. 시각의 혁명 (Van Eyck. An optical revolution)> 은 방문해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 같다. 미술사에 반드시 언급되는 작가치고는 남겨진 작품이 불과 20여점 밖에 되지 않는 이 북유럽 르네상스의 거장 얀 반 에이크의 작품들이 이 미술관에 다 모일 모양이다. 일전에 소개한 렘브란트 탄생 350주년 기념 전시회와 함께, 2020년 유럽을 여행해야 할 중요한 이유가 또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