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과 사자 :: 'Botticelli' 태그의 글 목록
2020. 5. 12. 00:01 미술 이야기

오늘 소개할 드로잉은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작가 중 하나인 미켈란젤로의 장보기 목록 - 청어, 토르텔리 (라비올리의 일종으로 네모난 만두 같은것), 페넬 스프 두 그릇, 앤초비 네개, 그리고 (이게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는 모르겠지만) 'a small quarter of a rough wine' (아마도 적은 양의 정제가 안된 저렴한 와인이 아닐까싶다). 그리고 심부름을 시킬 하인이 글을 모른 관계로 알아보기 쉽게 일러스트레이션에 해당하는 드로잉을 덧붙인 것이다.  

미켈란젤로가 글을 읽지 못하는 하인을 배려해 남긴 쇼핑 목록과 드로잉 (1518년) 

문맹인 하인에게 심부름을 시키기 위해서 일필휘지로 슥삭슥삭 남긴 드로잉인데도 불구하고 그의 필력이 느껴진다. 그의 대작들, 즉 시스틴 천장화나 다비드 상은 자주 접해봤기에 친숙하다면 친숙하지만, 그의 이런 생활밀착형 드로잉을 보는 것은 처음이라 신선하기 이를데 없다.  그리고 생각해보면 너무도 당연하지만, 천하에 없는 거장이라도 매일매일 이렇게 장을 보고, 음식을 만들어 먹고 했구나 새삼 자각하게 된다.  미켈란젤로는 나랑은 무관한 옛날 옛적에 살았던 천재라고만 생각했는데, 이런 드로잉 하나로 그와 나와의 거리가 확 가까워진듯하다. 

미켈란젤로의 걸작 시스틴 천장화에서 '아담의 탄생' 장면
미켈란젤로의 걸작 '다비드' 상

그와 같은 천재도 이렇게 매일매일 일상이라는 것들로 채워진 인생을 살았다고 생각하면, 별 특별할 것도 없는 나도 매일매일 일상을 충실히 채워가야겠다는 각오 (?)같은 것도 생긴다. 

p.s. 이번 포스팅을 올리고나서 이전에 올린 글 하나가 생각이 났다.   보티첼리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아직 경제적 여유가 없던 도제 시절, 둘이 음식점 겸 숙박업소를 동업으로 잠시 경영했다는 것을...  그렇다. 미켈란젤로 뿐 아니라 보티첼리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 모두 매일매일 생활하는 생활인이었다.  뭐지? 이 말할 수 없이 가슴 속 깊숙한 곳에서부터 치밀어 오르는 친밀감은?

Leonardo da Vinci, Mona Lisa (c. 1503–1506), oil on poplar panel ; 77 × 53 cm, The Louvre Museum, Paris  

 

Sandro Botticelli, The Birth of Venus (c. 1484–1486). Tempera on canvas ; 172.5 × 278.9 cm (67.9 in × 109.6 in). Uffizi, Florence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9. 4. 2. 12:21 미술 이야기

엊그제 올린대로 내가 티스토리 블록의 편집에 익숙해질 때까지, 초기 글을 하나씩 올려보기로 했다.  얼마전까지 내가 사람들이 내 글을 얼마나 읽었는지도 몰라서 알지 못했는데, 초창기 글은 읽은 사람이 아주 적다는 것을 깨달아서이다. 그리고 현재 블로그 상태로는 전체 목록이 한 눈에 들어오지도 않고 그걸 어떻게 고쳐야 일목요연하게 목차가 보일 수 있게 만드는지도 모르겠어서이다.  물론 새 글도 계속 올리겠지만, 묻혀있는 옛 글들도 한번씩 퍼올려 다시 싣는 걸로.

그 제목하야, 이쁘면 진리다~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https://sleeping-gypsy.tistory.com/9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9. 3. 22. 23:52 일상 이야기

한때 '알쓸신잡'이라고 '알면 쓸데없는~' 이라는 프로가 있었다. '옥탑방 문제아들'이라는 프로그램도 그렇다. 옥탑방에 모인 연애인들이 '알면 쓸데없는' 질문 10개를 다 맞추어야만 귀가할 수 있다는 룰 아래 퀴즈 푸는 프로그램이다. 말만 들어선 그러려니 할텐데, 요새 이 프로가 재밌다. 솔직히 거기서 나오는 질문들이 다 그게 질문으로 나오기 전까지는 전혀 궁금하지도 않고, 사는데 지장도 없는 그런 질문들이다. 그런데 막상 질문으로 나오고 나면 그렇게 또 답이 궁금하다. 

미술에 대한 문제도 가끔 나오는데, 사실 진위여부는 확실하지가 않아 보이는 것도 있다. 최근 '옥탑방 문제아들'에 나온 문제 중 기억에 남는 것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에 대한 질문이었는데, 문제인 즉슨, 레오나르도가 <최후의 만찬>을 제작하는데 무려 2년 6개월이 걸렸는데, 그 중 2년 3개월은 '이것'에 소비를 했고, 채색하는 데에는 3개월 밖에 걸리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해답은 레오나르도가 워낙 미식가라 탁자에 올려 둘 음식의 내용을 궁리하는데 2년 3개월을 보냈다는 것. 그 설명의 내용 중, 레오나르도가 얼마나 음식에 관심이 많았냐면, 그가 또다른 르네상스의 유명 화가 '보티첼리'가 함께 음식점을 운영하기도 했다는 설명이 덧붙여졌다.  

레오나르도 (1452-1519)는 왠지 밀라노와 프랑스의 궁정을 오가며 비단옷 입고 귀족들하고 노닐었을 것 같고, 보티첼리 (1445-1510)는 메디치 궁에서 지내고 있었을 것 같았는데. 설마... 싶어서 인터넷 검색을 해봤더니, 야사를 다룬 사이트에서 실제로 1470년경  레오나르도나 보티첼리나 아직 베로키오의 도제시절, 용돈이 궁해서 인근 여인숙에서 웨이터로 아르바이트를 했다한다. 그러다 의기투합해서 짧은 시간 "개구리 세마리 (Tre Rane)"라는 여인숙을 경영했다고 나왔다.  예전엔 레스토랑이라기 보다는 숙박업에 겸해서 음식을 파는 곳이 많았으니 '음식점을 운영했다'라는 말 자체는 틀린 말이 아닐 것 같다. 

하지만, 과연 레오나르도가 정말  그 <최후의 만찬> 식탁에 올릴 음식의 내용을 궁리하느라 2년 3개월을 보냈을까? 개인적으로는 좀 회의적이다. 

Leonardo da Vinci, Last Supper (1495-98) tempera on gesso, pitch and mastic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Milan


위의 그림에서 보시다시피, 레오나르도가 그린 <최후의 만찬>에는 진수성찬은 그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성서의 내용에서도 '빵'을 예수 그리스도의 '살'이요, '포도주'를 그의 '피'로 여기라고만 나와있지, 예수와 그의 12 제자들이 상다리 휘어지게 만찬을 즐겼다는 얘기는 없다. 그렇다고 레오나르도가 2년 3개월을 고민하며 보냈다는 말이 그냥 마냥 뻥같지는 않다. 아마도 그 시간 동안 다른 수많은 프로젝트 (하늘 나는 날개 설계하랴, 무기 설계하랴, 흐르는 냇물이랑 동물들 관찰까지...그리고 짬짬히 시체해부까지, 그는 정말 하는 일이 많았다.)를 하면서 이 작품의 구도를 고안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냈을 것이다. 

우리는 워낙 레오나르도의 이 작품에 익숙해져서, 마치 원래부터 <최후의 만찬> 장면은 이랬을것만 같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어느 누구하나 실제로 이분들 모여 식사하는 것 본 사람없고, 성서에도 예수와 제자들의 식사 장면이 어떠했는지 자세히 묘사하고 있지 않다. 결국은 이 모든 것이 화가의 상상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Andrea del Castagno, Last Supper (1447) tempera on plaster (Sant'Apollonia, Florence) 

일례로 위의 작품은 초기 르네상스의 작가가 그린 최후의 만찬 장면이다. 여기서는 귀중한 분들이 식사하는 장면에 적합하게 대리석에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멋진 실내에 그리스 스핑크스 조각까지 있는 식탁과 의자가 그려져 있다. 그리고 이 소중한 분들의 모습이 행여 가릴까 겹치지 않게 일렬로 배열하고, 배반을 한 나쁜 유다는 한 테이블에 앉히긴 괘씸하니까 테이블 반대편에 앉히기로 했다. 

이에 반해 레오나르도의 <최후의 만찬>에서는 실내와 가구를 최대한 단순화해서 인물들의 다이나믹한 심리상태에만 집중하였다.  예수님에 모든 관심이 다 쏠릴 수 있게 일점 원근법의 중심에 그를 배치시키고, 그의 자세를 통해 삼각형 형태를 이루며 안정된 구도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리고 식탁에는 '살과 피'를 상징하는 빵과 와인잔 이외에는 보이질 않는다. 

과연 이 장면은 어떤 장면일까하는 것은 아직까지 논란 중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가 빵과 포도주를 나눠 장면이라기 보다는 '너희 중에 하나가 나를 배반할 것'이라는 말을 한 직후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그 놀라운 폭탄 선언 후, 스승에 대한 애정과 염려, 그리고 충격과 공포, 분노 등으로 동요하는 제자들의 모습의 한 순간을 포착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평온한 그리스도의 모습과 대조되는 제자들의 감정의 소용돌이 속의 드라마가 탄생한 것이다.  반응들도 제각각이다. 오른쪽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전 아니죠?'하며 한 손으로 자신을 가르키고 있는 필립이다. 예수의 오른쪽에는 사도 요한이 눈을 감은 채 몸을 한쪽으로 기대고 있는데, 이는 도상적 표현이다. (다빈치 코드에서는 이 요한이 요한이 아니라 막달렌 마리아라는 해석을 하고 있다.) 

Leonardo da Vinci, Last Supper (1495-98) (세부) tempera on gesso, pitch and mastic Convent of Santa Maria delle Grazie, Milan 


왼쪽의 두번째 그룹은 좀더 격렬한 감정과 심리상태가 드러난다. '대체 그 놈이 누굽니까? 아주 경을 쳐놓을테니 알려만 주십시요' 하는 듯한 베드로 (심지어 나중에 예수를 잡으러 온 군인의 귀를 자르는 행위를 암시하며 칼까지 들고 있다), 그리고 그 옆에서 뜨끔해서 밀고의 댓가로 받은 은화 주머니를 쥐고 있는 유다가 예수와 같은 접시를 집으려다 멈칫하고 있다. 또 나중에 예수의 상처에 손가락을 넣어보며 확인하는 토마스는 그 중요한 행동을 할 손가락을 들어 보이며, '정녕 그게 하늘의 뜻입니까요?' 하고 있기도 하다.  제자들이 제각각 표현해내는 감정의 동요는 파도같은 모습의 제자들의 움직임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모든 움직임은 식탁 저편에서 일어나고 있고, 그 식탁을 경계로 신성한 이들의 모임과 그것을 바라보는 일반인들이 구분지어져 있다.   

전체적인 구도의 면에서나 개별 인물들의 심리묘사 또 그들의 군집을 통해 드러나는 형식적 조화와 상징의 표현 등을 신경 쓰며 배치를 하기엔 2년 3개월도 충분하지 않을 것 같다. (다시 말하지만, 그것 말고도 레오나르도는 항상 바빴다.)  식탁의 메뉴만 신경을 쓰면서 2년 3개월을 썼다는 '옥탑방의 문제아들'의 해답은 따라서 설득력이 부족하다. 

웃자고 만든 오락 프로그램의 퀴즈에 너무 죽자고 달려든 것인지 모르지만, 오해는 마시라. 난 지금 너무 재미있어 하면서 문제를 푼 것이다.  난 이 프로그램이 조기 종영되거나 개편 때 소리소문 없이 없어지지 않고 오래 계속 되었음 바라는 사람 중 하나다. 




posted by 잠자는 집시
2018. 9. 8. 00:25 미술 이야기

이쁘면 모든게 다 용서된다. 이쁘면 진리다. 이쁘면 착하다.  

궁서체로 먼저 한번 써봤습니다. 이런 말, 한번쯤 들어보지 않으셨나요?  후후...  이런 믿음과 동일하지는 않으나, 일맥상통한 것이 신플라톤주의라고 할수도 있지 않나 혼자 생각해본 적도 있습니다만.... 오늘은 '이쁘면 진리다'라는 화두를 따라 보티첼리의 작품 하나를 살펴볼까 합니다. 


Sandro Botticelli, The Birth of Venus (c. 1486). Tempera on canvas. 172.5 cm × 278.9 cm (67.9 in × 109.6 in). Uffizi, Florence


Sandro Botticelli (1445–1510), Primavera (1482) tempera ; 203 × 314 cm, Uffizi

보티첼리의 작품 중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이 위의 두 작품 <비너스의 탄생>과 <프리마베라 (봄)>라고 할 수 있죠. 이 두 작품이 쌍을 이루도록 메디치가에서 주문했다는 일설이 있는 반면, 또 한편으로는 <프리마베라>와 <미네르바와 켄타우르스>를 한 쌍으로 묶는 설도 있습니다.

Sandro Botticelli (1445–1510), Pallas and the Centaur (ca.1482), tempera on canvas ; 205 × 147.5 cm, Uffizi

여하튼 <프리마베라>와 <비너스의 탄생>, 두 작품 다 신화 속 인물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지만, 딱히 특정 에피소드와는 상관없는 전개라는 게 특징이라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먼저 <비너스의 탄생>은 제목과는 조금 다르게, 귀여운 아기 비너스가 탄생하는 순간...은 아니고, 이러저러 여차저차해서 파도의 거품속에서 탄생했다는 비너스가 이미 다 장성해서 성숙한 여인의 모습으로 파도를 타고 해안으로 도착하는 순간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때, 비너스는 메디치가 소장 중인 비너스의 포즈와 유사하게, 다소곳이 몸을 가린 모습인데, 정숙한 여인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일명, Venus Pudica).  조신조신... 

Venus de'Medici,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Italy   통칭 '메디치가의 비너스'

한편, 비너스가 파도에 밀려 조개껍질을 타고 해안에 도착하는 장면도 고대부터 있는 도상인데, 폼페이 벽화부터 까메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남아있습니다.

Casa de la Venus en la concha Pompeii – 여기서는 비너스가 장막 같은 천으로 바람도 연출하고 있다. (펄럭이는 망토는 바람의 상징)

고대 로마시대 까메오 장식 – 재료와 주제의 적절한 결합을 보여준 탁월한 예

Sandro Botticelli, The Birth of Venus (c. 1486) – Zephyr and Aura

<비너스의 탄생> 화면의 왼쪽에서는 서풍(Zephyr)이 볼 빵빵히 바람을 불어 비너스를 해안으로 인도하고 있고, 그의 품에서 미풍(Aura)도 함께 이 일을 거들고 있습니다.

Sandro Botticelli, The Birth of Venus (c. 1486) –Horae

오른쪽에서는 값비싸 보이는 아름다운 천을 받쳐들고 역시 아름다운 옷을 입은 여인이 누드의 여인에게 덮어주려는 듯 달려오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 여인은 호라 (Horae), 혹은 계절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간의 흐름을 뜻하죠 (이 단어에서 시간 (hour)이라는 영어단어가 나온건 안 비밀). 혹자는 호라의 포즈를 기독교에서의 예수의 세례 장면과 연관시키기도 한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시시콜콜하게 신들의 이름이나, 작품의 주문 배경을 전혀 몰라도 작품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데는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않습니다. 뭐 어차피 확실하지 않은 것도 많으니까요.  ^^

비너스의 모델이 된 것이 당대 최고의 미녀이자, 메디치가의 청년들 – 로렌조와 줄리아노 – 가 모두 숭배해 마지 않았다는 여인 시모네타 베스푸치 (Simonetta Cattaneo Vespucci)였다고 하기도 하지만, 그것 역시 확실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뭣이 중한디? 이렇게 이쁜데....

Sandro Botticelli, The Birth of Venus (c. 1486) –Venus 

메디치 가가 설립했던 아카데미에서 플라톤의 사상을 신봉하고 연구하던 일군의 학자들의 주도로 르네상스기에 널리 유행했던 것이 바로 신플라톤주의입니다. 그리스 로마의 전통과 사상을 연구, 재발견하게 되면서,어떻게 하면 중세 천년 동안 신봉해 왔던 기독교의 신앙과 사상을 버리는 일 없이조화롭게 포용할 수 있을까하는 궁리 끝에 나온 사상이라고 할 수 있죠. 

이런 관점에서 비너스는 그리스 로마의 신처럼 현세적이고 육체적인 사랑을 관장하는 존재이기도 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인간들에게 천상의 진리, 신에 대한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이해하게 됩니다. 즉, 우리가 육체적 아름다움은 제대로 감상하고 명상하기만 한다면, 궁극적으로는 더 고상한 정신적인 아름다움을 이해하게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비너스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우리는 처음에는 그 외면적 아름다움에 맘을 빼앗기지만, 종국에는 우리의 맘을 신성한 경지, 신성한 신의 사랑으로까지 고양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거죠.  

따라서, 단순화 하자면, 맞는 말입니다. 적어도 신플라톤주의자에게는요, "이쁘면 진리다~"라는 말은요.  


#보티첼리 #비너스의탄생 #신플라톤주의 #우피치 #메디치

posted by 잠자는 집시
prev 1 next